6100억대 6·8공구 22만㎡이어
4300억대 주택용지도 잇단 유찰
‘재정건전화 3개년 대책’ 따른
올해 7천억 상환 목표 무위 우려
인천시가 채무 감축을 위해 추진중인 토지 매각이 잇따라 유찰돼 비상이 걸렸다.
이에 올해 약 7천억원의 빚을 갚아 채무비율을 30% 초반대까지 끌어내리겠다는 재정 건전화 목표가 무위에 그칠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송도국제도시 공동주택용지 A2ㆍA5ㆍA6 등 3개 필지 총 19만8천㎡(예정가 4천298억원)를 매각하려고 19일 공개경쟁입찰을 했으나, 응찰자가 없었다.
서울과 송도에서 투자설명회를 열고 계획 세대 수를 애초 2천44가구에서 2천710가구로 늘려 투자 메리트를 더했지만 시장 반응은 냉담하기만 했다.
송도 6ㆍ8공구 A1ㆍR1블록 22만5천㎡(예정가 6천100억원)도 지난해 12월과 지난 1월 잇따라 유찰됐다.
이로 인해 인천시의 ‘재정 건전화 3개년 대책’에도 비상이 걸렸다.
시는 송도국제도시 토지 매각 수입 등 세입 증가분을 부채 상환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이었다.
시는 송도 6ㆍ8공구 등 공동주택용지(4천731억원), 구월농산물도매시장(918억원) 등 올해 공유재산 매각 수입을 5천650억원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자산 매각 수입을 중심으로 올해 7천713억원의 채무를 상환, 예산 대비 채무 비율을 작년 1분기 39.9%에서 31.7%까지 끌어내리겠다고 공언했다.
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다소 침체해 있지만 송도 땅은 사업성이 충분하므로 매각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재정 건전화 대책이 원활하게 이행되도록 시장 상황에 맞는 매각 전략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해 7월, 17개 시ㆍ도 중 가장 높은 예산 대비 채무비율을 기록, 행정자치부로부터 재정위기단체 ‘주의’ 등급을 받았다.
/윤용해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