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회장 체제 리우올림픽 치러
10월말 이전 새 통합회장 선출
‘문체부 승인 사항 너무 많고
통합회장 대의원총회서 뽑아야’
IOC, 정관 수정 권고로 논란
문체부 “이미 조율이 끝난 내용”
통준위 “ 말 그대로 권고안일 뿐”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가 하나로 합친 통합체육회가 다음 주초 법적 단체로 거듭나며 지난해 3월부터 이어진 1년여의 통합 과정을 사실상 마무리한다.
통합준비위원회 관계자는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체육을 한데 묶는 통합체육회가 21일 법인 등기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법인이 등록되면 통합체육회가 법적 효력을 갖게 되고 기존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는 사라지게 된다.
통합체육회는 이어 25일 첫 이사회를 열고 4월 5일에는 창립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는 18일 임직원 인사 발령을 내고 통합체육회 출범을 본격적으로 준비했다.
통합체육회의 명칭은 ‘대한체육회’로 하기로 체육단체 통합준비위원회에서 정한 바 있다.
통합체육회장은 김정행 대한체육회장과 강영중 국민생활체육회장이 공동으로 맡아 올해 8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까지 치른 뒤 10월 말 이전에 새 통합 회장을 선출하게 된다.
그러나 통합체육회가 법적으로 공식 출범하지만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통합체육회 정관에 대해 수정 권고안을 보내온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될 전망이다.
김정행 회장과 강영중 회장, 김종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제2차관, 안양옥 통합준비위원장 등은 이달 초 IOC 본부가 있는 스위스 로잔을 찾아 통합체육회 정관에 대해 IOC와 면담했다.
당시 IOC는 이달 중에 통합체육회 정관에 대한 검토 사항을 보내기로 했다.
IOC가 보낸 검토안에는 ‘회장 선출과정 등에 정부의 개입이 많다’며 수정할 것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문체부 승인 사항이 지나치게 많고 통합회장 선거도 선거인단이 아닌 대의원 총회에서 하도록 권고를 해왔다”며 “그동안 통합준비위원회에서 준비해온 새로운 정관을 많이 고쳐야 하는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문체부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IOC의 수정 권고안은 공개하지 않기로 한 부분”이라며 “IOC가 보내온 수정 권고안 내용 자체가 이달 초 IOC 면담 시에 나왔던 지적이고 이미 그때 우리의 입장을 설명해 어느 정도 조율이 끝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통준위 역시 21일 통합체육회 등기 절차가 마무리되면 해산되기 때문에 통준위에서 더 이상 논의할 부분은 사실 없다”며 “추가로 IOC와 조율할 사안이 있으면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서 IOC와 이야기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안양옥 통합준비위원장은 “IOC의 수정 권고안은 말 그대로 권고안이고, 이달 초 IOC와 면담에서도 IOC 권고안에 대한 우리 측 입장을 다시 밝히면서 이견을 조율하기로 했다”며 “선거인단을 통한 회장 선출이 일부 대의원들이 뽑는 제도에 비해 민주적이다. 또 문체부 승인 사항에 대해서는 국가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한국의 상황이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