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감도(仙甘島)의 지명에는 신선을 뜻하는 ‘선’자가 들어 있다. 이 섬의 높은 산 위에 있는 바위에 선인이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을 했다는 지명유래가 전해진다. 이 섬은 지난 1987년부터 시작된 방조제 공사로 육지인 화성시 서신면에서 탄도·불도·선감도를 거쳐 대부도까지 육지와 연결돼 있다. 그런데 겉으론 지명처럼 평화로워 보이는 섬에는 잔혹사가 있다.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인 1942~1945년 부랑아 교화를 명분으로 안산시 선감도에 설립·운영된 시설로 8~18세 아동과 청소년들을 강제입소시켜 노역·폭행·학대·고문 등 인권유린을 행했다.
해방 뒤 1946년 경기도로 관할권이 이관됐지만 해방 후 인권의식을 갖고 있지 못한 독재정권 시절을 거치면서 여전히 혹독한 인권유린이 지속됐다. 1982년 이 시설이 폐쇄될 때까지 말이다. 지난해 11월 JTBC-TV에서는 70년간 국가가 행한 최악의 인권 유린 사건의 실태를 밝혀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줬다. 당시 선감학원 원생들은 교육을 받지 못 하고 노예처럼 혹독한 노동착취에 시달렸으며 밤마다 곡괭이 자루로 맞았고 상습 성폭행에 시달렸다는 충적인 증언도 있었다.
특히 선감도를 탈출하려다 붙잡힌 아이들은 하반신을 못쓰게 만들거나 죽을 때까지 때렸다고 한다. 물론 탈출과정에서 물살에 휘말려 죽은 아이들도 많았단다. 선감도에서 죽은 아이는 300명이 넘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지표투과레이더로 지하상태를 확인한 결과, 암매장된 것으로 보이는 물체가 다수 포착됐다. 이처럼 끔찍한 행위가 국가에 의해 저질러졌음에도 손해배상은 고사하고 진상 규명조차 되지 않고 있다. 늦긴 했지만 경기도 차원에서 진상규명이 이뤄질 것 같다.
‘경기도의회 선감학원 진상조사 및 지원대책 마련 특별위원회’가 지난 18일 제310회 임시회 제2차 선감학원 진상조사 특위 회의를 열었기 때문이다. 특위는 도의 선감학원 관련, 집행부 추진 현황 업무보고를 받고 선감학원 사건 경위와 진상 조사 방안 등에 대한 전문가 설명을 들었다. 아울러 앞으로 위원회 운영 방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기도 했다. 남경필 지사도 지난해 11월5일 경기도의회 본회의에서 “경기도가 당장의 책임인정과 사과는 얼마든지 할 수 있으나 이에 앞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도의회가 적절한 조처를 의결하면 이를 성실하게 집행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정확한 진상규명과 피해보상이 이루어져 이들의 한을 풀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