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00만 시대를 앞둔 인천시가 청렴실천 의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다.
인천시는 2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회의실에서 37개 기관·단체의 청렴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청렴실천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청렴실천협의회’는 청렴한 인천을 만들어 가기 위해 인천상공회의소, 대한노인회 인천시연합회 등의 사회단체와 시의회, 교육청, 군·구,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의 장으로 구성된 공동협력체다.
이날 회의에서는 각 기관별 부서의 장으로 구성된 협의회 위원들이 참석해 각급 기관에서 추진 중인 청렴시책을 공유하고 청렴실천 결의를 통해 청렴문화 확산에 뜻을 모았다.
특히 이번 회의는 4대 백신 프로젝트, 청탁금지법 시행령 입법예고사항 등 공직사회의 청렴을 강조하고 민간부문의 청렴활동을 유도하는 정부정책 흐름에 발맞춰 시에서 영향력을 지닌 기관·단체들이 청렴을 주제로 논의함으로써 의미를 더했다.
시는 또 이날 회의에서 시의 청렴수준과 정부의 청렴정책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시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청렴한 인천을 위한 3대 전략 ‘청렴생태계 조성, 부패위험 제거 개선, 청렴문화 정착’과 10개 추진과제의 추진현황을 소개했다.
우선 ‘청렴생태계 조성’을 위해 고위공직자의 부패위험성 진단 및 청렴 릴레이 기고 청렴활동 성과평가 반영, 청렴대책 추진상황 보고회, 청렴리더 제도를 운영했으며 청렴거버넌스 운영을 위해 시민감사관 제도 운영, 공동주택관리 청렴실천 협약, 청렴소방정책 자문단 등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부패위험 제거 개선’을 위해서는 인천형 4대 백신 프로젝트인 자율적 내부통제제도, 정보 상시 공유·연계를 통한 시스템 감사,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위한 컨설팅 감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시민만족도 향상을 위한 청렴해피콜 운영 등을 통해 부패의 사전 차단에 노력하고 있다.
‘청렴문화 정착’ 전략은 전 직원의 청렴교육 의무 이수 확행 및 인천시 특성에 맞는 청렴전문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공직자부조리신고센터 및 공익신고자 보호 및 복지보조금 부정신고 활성화 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윤용해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