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방식
/박완호
나뭇잎은 나무의 고통이다. 나무는 뿌리에서 길어 올린 눈물의 유전자를 가지마다 매달린 익명의 이파리들에게 은밀히 주사한다. 실핏줄 속을 흐르는 붉은피톨들, 하지만 쉽사리 들키지 않게, 고통의 무늬는 뒷면에 양각으로 맺힌다. 나뭇잎은, 저려오는 아픔을 참아가며 여름 내내 써내려간 문장들. 가을이면 나무는, 더는 참지 못하고 나뭇잎을 붙잡았던 손을 놓아버리지만, 온 산이 핏빛으로 물드는 순간에도 신음소리 한번 내지 않는다.
-시집 ‘너무 많은 당신’
고통이 변주되지 않는다면 우리들 눈물의 유전자를 어떻게 갈아엎을 수 있을까? 고통을 무엇인가에 의탁하지 않는다면 이미 각인된 그 무늬의 흔적을 어떻게 지울 수 있을까? 시인은 나무의 방식으로 자신을 감내하는 것이다. 뿌리에서 길어 올린 눈물은 실존적 고통의 표상이다. 푸른 나뭇잎에서 보아내는 붉은피톨은 처절한 삶의 자기응시이다. 저려오는 아픔을 참으며 여름내 쓴 문장이란 그가 몸으로 낳은 시편일 터, 그래서 그는 아픔을 응축하고 버무려 따뜻한 시선의 활엽수들을 시의 숲 가득 가꾼 것이다. 그러니 시인이여, 가을이 와서 바람이 나뭇잎의 멱을 따도, 핏빛 조락이 팽배해도 나무의 방식으로 꿋꿋하시라. 저 연초록 나뭇잎 첩첩 양각된 고통의 무늬가 누구에겐들 내면 깊이 실핏줄처럼 얽히고설켜 있지 않으랴! 고통을 대독하는 나무여, 그를 대필하는 시인이여. /이정원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