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구조조정을 둘러싼 학교 구성원들간의 싸움이 격화되며 학교 재단으로까지 불씨가 번졌다.
인하대 총학생회는 20일 재단 사무국이 소재한 정석빌딩 앞에서 대학 구조조정에 대한 해결에 재단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강력 비판했다.
이들은 “재단은 대학 구성원과 총장 간의 심각한 소통불능 상태를 책임있게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사태는 인하대가 450억원의 국비지원을 받기 위한 교육부의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을 강행했으나 탈락하면서 촉발됐다.
최순자 총장은 프라임 사업의 선정되기 위해 구조조정을 실시했으나, 사업 탈락 후에도 구조조정을 강행하면서 교수와 학생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최 총장은 앞서 “학내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의견수렴 기구로 학생 1명과 교수 4명, 직원 1명, 외부인사 5명으로 구성된 대학평의원회를 소집했다.
대학평의원회는 최근 2017년도 입학정원 조정안이 담긴 ‘학칙 및 학칙 시행세칙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대해 학생측은 프라임사업이 탈락됐음에도 학교측이 구성원과 협의없이 구조조정을 강행한다고 해석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기존 단과대학을 10개에서 7개로 줄이고, 미래융합대학을 신설해 인문사회계열 정원은 139명 줄이고 공과대학 정원은 54명 늘리게 된다.
총학생회는 “이번 대학평의원회의 학칙개정은 학생들과의 어떠한 논의와 협의, 합의 없이 강행 처리됐다”며 “교수, 학생평의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패널티 적용으로 통과된 최 총장의 독단적 대학운영”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더 큰 문제는 최 총장의 비민주적이고 독단적인 사업 진행과 구조조정에도 재단은 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사태의 본질은 안정적 재원의 부재”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인하대 관계자는 “지난 20여년간 단과대학별 취업률과 사회를 반영하는 평가지표에 따라 입학정원을 조정해 주로 이공계열의 정원을 줄였었다”며 “학교 발전을 위한 우수한 인재 유치 과정 중 하나로 충분한 협의를 거쳐 결정된 사항”이라고 말했다.
/류정희기자 r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