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김교범 인천대 교수, 뼈·피부 재생 향상 신기술 개발

논문 고분자과학학술지 게재
약물 오랜기간 서서히 방출돼

 

김교범 인천대 생명공학부 교수가 뼈나 피부 등 조직 재생에 크게 도움을 줄 새로운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인천대는 생명공학 연구팀 김교범(사진) 교수가 왕야동(중국인) 피츠버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Polycation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양이온성 합성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생명공학 치료기법)’ 논문이 고분자과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폴리머 사이언스’ 최근호에 실렸다고 20일 밝혔다.

통상 피부 상처 치료나 뼈 재생 등 조직 재생은 단백질과 성장 인자 등을 몸에 주사하는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체내에서 단백질 등의 약효 기간이 짧아 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김 교수 등은 생체 내 음 이온 물질(헤파린)의 도움을 받아 양 이온인 단백질·성장 인자와 양 이온인 고분자 물질이 스스로 합성하도록 해 단백질 막의 일종인 껍데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 교수는 “생명공학 기법으로 만들어진 전달체는 전달하고자 하는 약물이나 생체분자를 껍질의 형태로 보호하며 오랜 기간 세포내 혹은 체내에 머물며 서서히 방출해 조직 재생 치료에 크게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문은 한국과학자들의 우수 논문을 소개하는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에서 운영하는 중인 ‘한국을 빛낸 사람들’ 사이트에도 소개됐다.

/류정희기자 rj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