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경기도의 생태하천복원사업 확산돼야

갈수록 생태하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도시 한가운데로 흐르는 하천에서 물고기가 유유히 헤엄치고 각종 물새들과 수생식물들이 서식하는 모습을 볼 때는 뻑뻑한 도시생활에서 잠시나마 건강해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 경기도내의 대표적인 생태하천이랄 수 있는 수원천과 경안천, 안양천이 그렇다. 다른 하천에서도 생태 복원사업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수원천의 경우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일부 복개공사가 진행됐고 나머지 구간도 복개가 예정돼 있었으나 당시 수원문화원을 중심으로 시민들의 복개 반대운동이 결실을 맺어 복개를 중단시켰다. 이어 복개반대운동의 중심에 서있었던 고 심재덕씨가 수원시장으로 당선되고 1995년부터 수원천은 살아나기 시작했다. 청계천보다 10년 앞선 일이다. 용인과 성남을 흐르는 하천인 경안천도 12년간의 생태하천복원사업 성과로 하류 구간이 연평균 2급수(2.0~3.0㎎/ℓ)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03년엔 6급수였다. 안양시가 10여년 동안 추진하고 있는 안양천가꾸기 사업도 결실을 맺고 있다. 안양천 일대에는 식생, 어류, 조류, 양서 및 파충류 등 630여종에 이르는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경기도에 의하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완공된 남양주 묵현천 등 11개 하천이 잉어, 붕어, 미꾸라지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고 한다. 특히 안성시 금석천에는 천연기념물인 원앙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 복원이 이뤄지고 있다. 도는 생태하천복원사업을 마친 하천에서 수질 개선, 생태계 회복 등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힌다. 더욱 고무적인 일은 올해 안으로 도내 하천 7곳이 생태하천으로 재탄생한다는 것이다. 부천 심곡천, 남양주 왕숙천, 화성 발안천, 양주 덕계천, 안성 청미천, 포천 포천천(2), 오산 오산천 등 7곳이다. 이중 부천 시내를 흐르는 심곡복개천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생명하천으로 다시 태어난다.

도는 올해 총 1천463억 원을 투입, 25개 하천에 대한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이 사업이 물을 공급해 하천수량(水量)을 증가시키고, 동·식물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등 자연적 자정기능을 회복한 건강한 하천으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밝힌다. 또 생태관찰·체험 시설 및 생태탐방로를 조성하는 등 사람·자연이 함께 어우러지는 친수공간으로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생태하천복원 사업이 모든 하천에서 진행되길 바란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