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 푸르른 기호
/박현수
그렇지, 더 이상 웅크릴 수 없을 때까지 웅크리다가 나무로 솟아오르는 개암 열매를 닮았지 많은 수의 제곱근은 별무리처럼 모호한 무리수, 그러나 제 자신을 한 번 더 곱하면 비로소 별자리처럼 명쾌한 유리수가 된다지 어느 과학자가 루트를 보며 새로운 식물학을 꿈꾼 것은 당연한 일 어둠 속의 뿌리가 루트의 각질을 벗어나면 햇살 속의 가지가 된다는 거지 그렇지, 어둠 속에서 싹을 틔워 영혼의 키를 곱으로 키울 때 비로소 형상의 제국이 팝콘처럼 터진다는 것이지 √어둠이 바로 저 환한 숲이라는 것이지 저 숲 속에 푸르른 초월의 약도가 있다는 것이지
- 박현수 시집 ‘겨울 강가에서 예언서를 태우다’
나무껍질이 열매가 되고 무질서한 별무리에서 별자리가 탄생하며 뿌리가 가지가 되는 비밀, 어둠 속 무형(無形)의 세계가 팝콘처럼 터지는 형상의 제국이 되는 비법이 있다. 그것은 무리수를 유리수로 만드는 방법! 우리의 生活은 무리수처럼 아무리 읽어가도 그 끝을 알 수 없는 불확실과 불안정의 연속이다. 더욱이 그것이 어둠 속에서라면 읽어보려는 시도조차 두렵게 된다. 그러나, 각질을 벗기듯 어둠을 제곱해보자. 그것은 나의 어둠을 의연한 자세로 내려다보는 일일 것이다. 순환하지도 않고 무한히 진행되는 어둠이라면, 어둠 속에 있지만 말고, 어둠의 저 위로 올라가 보자. 반대편의 환한 숲이 보일 때까지. /김명철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