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화성 ‘당성’ 실크로드 관문 재입증… 유물 1천여점 발견

백제시대부터 사용 확인
9세기경 백자완도 발굴
세계유산 지정구간 기대
오늘 4차 조사 성과 공개

화성시는 ‘당성(唐城) 4차 발굴조사’에서 다수의 유구와 유물 1천여 점이 발견돼 이 지역이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관문이었음이 재입증됐다고 12일 밝혔다.

시의 의뢰로 한양대 문화재연구소가 실시한 이번 발굴조사 결과 당성이 위치한 구봉산 정상부에서는 1차 성벽과 건물지, 2차성 동문지, 명문기와 40여 점, 백제토기 등 유물 1천여 점 이상이 발견됐다. 이번에 발굴된 백제토기는 당성이 백제시대부터 사용됐음을 보여주는 첫 유물이다.

또 신라 육부(六部)가 당성의 축조에 관여했음을 보여주는 ‘本彼謨’(본피모)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와 함께 청해진 등 주요 교역거점에서 발굴되는 9세기경의 백자완도 발굴됐다.

1차성 건물지에서 확인한 연대범위에 따르면 당성은 백제시대 이후 신라에 의해 대규모 성으로 확장됐으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에 걸쳐 수축되며 중요 시설로 사용됐음이 확인됐다.

특히 1차성 성벽은 삼국시대에 둘레가 610m에 이르게 됐으며 1차성 서측 전면부의 건물들은 2차성 확장기 이후에도 해안의 항구도시를 감독하는 시설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발굴에 대해 연구소 측 당성이 동아시아 실크로드 세계유산 지정구간에 포함될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지난 3차 발굴조사에서 1천여 점의 유물과 함께 ‘唐’(당)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된 데 이어 이번 발굴 결과로 당성이 백제의 당항성일 가능성이 더욱 확실해졌다”고 설명했다.

채인석 시장도 “당성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펼쳐온 그간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졌다”며 “당성을 통해 시 문화유산 보존의 기틀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13일 오후 1시 30분 현장설명회를 개최하고 이번 당성 4차 발굴조사 성과를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다.

/화성=최순철기자 so5005@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