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살처분 매몰지 침출수 유출 막아라

도대체 우리나라 방역행정은 전후가 왜 이리 허술한지 모르겠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나 구제역이 발생할 때마다 축산농가나 유통업체, 통닭집이나 육류판매 음식점에 엄청난 피해를 입히고 있는데도 번번이 초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다. 이번에 전북 군산 오골계 농장에서 시작된 AI도 그럴 위험성이 크다. 순식간에 전국 6개 시·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다간 지난 2008년의 악몽이 되풀이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해 AI는 전국 19개 시·군 농장 1천500곳으로 확산돼 닭과 오리 1천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끔찍한 재앙이었다. 정부가 지급한 보상금과 생계소득안정자금만 1천674억원이었다.

당시의 피해사례 잊지 않았다면 이번 AI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재앙은 또 다른 재앙을 부른다. 가축을 모두 살처분한 뒤 매몰한 곳에서 침출수가 유출되고 있는 것이다. 유출된 침출수는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침출수의 주성분은 인체에 유해한 질산성질소나 암모니아성질소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말부터 5개월간 전국 가축 매몰지 1천216곳 중 관측정이 설치된 매몰지 235곳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침출수 유출이 확인된 곳은 지난 2015년 구제역 당시 1천300마리의 돼지를 매몰한 안성 장암리와 천안 봉양리(산란계 19만3천 마리), 원주 평창리(돼지 1만1천 마리) 등이다. 그런데 이는 일부일 뿐이다. 해당 지역 뿐 만 아니라 인근 가축매몰지에서도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고 있다. 앞으로 정밀조사를 진행되면 피해는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안성 장암리와 함께 월정리(돼지 170마리)·고은리(돼지 1천500마리)에서도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고 있어 정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는 것이다. 이밖에 전남과 충북 등지에서도 이 같은 피해가 예상된다고 한다.

이에 정부는 정밀조사 후 침출수 유출 정도가 심각하면 지하수 정화 조처를 실시하고 차단막 설치와 양수처리 등 확산 방지 대책을 펼칠 예정이다. 대책이 주먹구구식이 돼서는 안된다. 무조건 살처분하고 매몰하는 정부의 대책도 문제지만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완벽한 관리·감독이 절실하다. 그런데 이번에 AI가 퍼진 제주도는 7일 현재까지 15만마리 가금류를 살처분했지만 침출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방식인 렌더링이나 탱크처리, 폐사축처리시설에서 처리했다. 제주도와 같은 비매몰 방식을 정부차원에서 고려해보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