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평택국제대교 하부 국도 43호선 통제… 우회도로 정체 심각

세종방면·평택산단 출퇴근 차량
우회 국도 38·39·34·45호선 몰려
잔존 상판철거 신속 재개통 추진

평택 국제대교 붕괴사고 조사위원회가 교량 상판 붕괴로 교통이 통제된 국도 43호선의 재개통을 최우선 과제로 삼기로 했다.

29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번 사고에서 무너지지 않은 상판과 국도 43호선이 겹치는 구간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판단, 사고 당일인 26일부터 오성교차로~신남교차로 14㎞ 구간의 교통 통제를 하고 있다.

무너지지 않은 상판(개당 길이 50m·폭 27.7m)은 동-서 방향으로 남-북 방향의 국도 43호선(왕복 6차로)이 교차하는 형태여서, 추가 붕괴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국도 43호선이 자동차 전용도로여서 도로 중간에 빠지는 곳이 거의 없는 데다, 세종 및 충남에서 수도권으로 이어지는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수원-화성 고속도로로도 연결되는 도로여서 평일 하루 교통량이 6만5천여 대에 달한다는 점이다.

또 북쪽으로는 평택어연한산·평택오성 일반산업단지 등이 있고, 남쪽으로는 아산테크노밸리, 천안일반산업단지 등이 분포해 있어 상시 출·퇴근 혼잡 지역이다.

이로 인해 운전자들은 세종방면의 경우 국도 38, 39호선, 경부·서해안 고속도로를, 평택방면의 경우 국도 34, 45호선, 경부·서해안 고속도로를 각각 우회도로로 이용하게 되면서 출퇴근길 정체가 심해지고 있다.

국토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가동 이틀째를 맞은 29일 국도 43호선의 재개통을 최우선으로 판단, 붕괴 원인 조사에 앞서 남은 상판 3개를 모두 철거하기로 하고 철거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상판은 교각 3개(P19∼P21) 및 종점부 교대(A2)가 받치고 있는데, P19 교각은 붕괴한 상판과 직접 연결돼 있다.

조사위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철거 방식을 결정, 안전하게 철거를 마칠 계획이다.

김상효 위원장은 “붕괴 원인 조사에 앞서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남은 상판 철거 방식을 논의하기로 했다”며 “국도 43호선 재개통 시점은 철거 방식에 따라 기간이 변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평택=오원석·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