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잘하는 일 가운데 하나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핵심정책인 ‘일하는 청년 시리즈’다. 일하는 청년 연금, 일하는 청년 마이스터 통장, 일하는 청년 복지포인트 등 3가지 세부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1월, 5월 2차례 모집을 통해 7만8천500명을 선발할 방침이다. 비판도 있지만 젊은이들의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12월 정부 주관 지방공공부문 일자리 우수사례 발표대회 우수상도 수상한 정책이다. 이 가운데 ‘일하는 청년 연금’은 퇴직연금에 가입한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청년(월 급여 250만 원 이하)이 대상이다. 10년 장기근속 시 개인과 경기도의 1대1 매칭 납입을 통해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다. 월 30만원 납입 시 퇴직연금 포함, 최대 1억원을 모을 수 있다고 한다.
또 ‘일하는 청년 마이스터 통장’은 중소제조기업에서 근무하는 청년(월급여 200만원 이하)에게 월 30만원씩 2년간 임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이 경우 최소 15%의 실질적인 임금상승이 예상된다고 한다. ‘일하는 청년 복지포인트’는 1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청년(월 급여 250만 원 이하) 청년들에게 근속기간별 연간 최대 120만원 상당의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제도다. 복지 포인트로는 자기계발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1월과 4월 2차례 총 7만850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정책은 지난해 성남시나 경기도의회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성남시의 3대 무상복지 예산을 제소한 경기도가 이와 유사한 예산을 편성하는 것은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것이다. 경기도는 성남시 3대 무상복지 예산이 보건복지부 협의 없이 편성했다는 이유로 대법원에 제소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19일 열린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이재명 성남시장의 ‘무상복지’와 남경필 경기지사의 ‘일하는 청년시리즈’ 사업에 대한 적법성을 놓고 여야 의원들이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성남시는 청년배당, 무상교복, 공공산후조리원 등 ‘3대 무상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청년배당은 3년 이상 성남에 거주한 만 24세 청년에게 2016년 1월부터 분기에 25만원씩 연 100만원을 성남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청년복지정책이다. 그러나 ‘여소야대’인 성남시의회는 최근 조례폐기를 추진하고 있으며 무상교복 예산도 삭감했다. 지금 청년정책 문제를 놓고 여-야, 경기도-성남시가 대결하는 양상이다. 정치적 타산에 앞서 청년들을 먼저 생각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