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2017년 경주와 포항의 지진과 최근 제천 밀양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화재사건을 계기로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다. 이같은 국민들의 우려는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재난방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등 바뀐 게 별로 없다는 인식에서다. 화재 부분만 하더라도 그렇다. 국민안전처에서는 매년 11월을 불조심 강조의 달로 정하고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전 국민이 참여하는 화재예방 확산 분위기 조성을 위한 대대적인 예방홍보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화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가 경각심을 일깨우고 조심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참사는 발생할 수 있다.
화재뿐만이 아니다. 산업사회의 복잡다단함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재난의 위험은 도사리고 있게 마련이다. 재난의 발생유형도 예측하기 어렵고 대형재난으로 확산될 위험요인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언제까지 국민안전처나 소방방재청 등 공무원들에게만 전적으로 의지할 수도 없는 일이다. 이번에 남양주시에서 시민이 주도하고 시가 지원하는 ‘향토방재단’을 창설키로 했다. 남양주지역 시민들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사회·자연 재난 피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다. 밀양·제천 참사와 같은 대형 사회적 재난을 막고자 다중이용시설 업주와 의료시설장 등을 방재단에 포함시켜 재난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재난 발생 우려 지역을 미리 돌아보거나 안전 점검을 벌인다는 것이다.
향토방재단은 공무원인 행정복지센터장을 단장으로 하며 민간인이 참여하는 예방·대비반, 대응반, 복구반 등 3개 반으로 편성된다. 여기에는 안전 지킴이, 주민자치협의회, 이·통장협의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부녀회, 자율방범대, 새마을교통봉사대, 남녀 의용소방대, 사단법인 대한민국 재난구조협회, 대한적십자 봉사회, 자율방재단, 해병대 남양주시전우회 등 모든 시민단체가 포함된다. 게다가 의사회, 한의사회, 대한약사회, 대한전문건설협회 각 지부를 대응협력조직으로 두어 신속한 재난예방과 대응, 그리고 복구에도 노력한다는 것이다. 더 이상 관공서가 점검하고 단속해 재난을 예방하고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다.
이 제도가 남양주시에서 정착된다면 행정 중심의 재난대응, 복구체제에서 시민 스스로 재난을 예방하고 복구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재난대응 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어느 누구도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고 자유롭지 못한 현실에서 남양주시의 재난예방과 복구를 위한 향토방재단 활동에 기대를 걸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