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GM)의 경영 정상화 과정이 과거 큰 후유증을 낳은 쌍용차 사례와 판박이라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그룹 몰락과 함께 1999년 워크아웃에 돌입한 쌍용차는 2004년 중국 상하이차에 매각됐다.
당시 상하이차는 쌍용차 지분 48.9%를 5천900억원에 인수해 최대 주주가 됐다.
이후 경기 악화와 판매 부진으로 쌍용차는 유동성이 급격히 악화했다.
유동성 공급을 약속하던 상하이차는 2008년 12월 철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2대 주주였던 산업은행과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정부는 대주주인 상하이차의 지원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지원을 거부했고, 결국 상하이차는 2009년 1월 쌍용차의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상하이차는 약 6천억원의 투자를 통해 가치가 큰 스포츠유틸리티차 기반 기술을 확보했기 때문에 쌍용차가 파산해 투자비를 모두 날리더라도 남는 장사를 한 셈이었다.
이 과정에서 상하이차가 쌍용차 인수 후 매년 3천억원씩 4년간 총 1조2천억원을 연구개발 등에 지원하기로 약속해 놓고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미 1년 전부터 쌍용차가 위기에 처했음에도 지원책을 내놓지 않은 채 오히려 핵심 연구원들을 중국 본사로 빼돌렸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10여년이 흐른 지금, 한국GM이 쌍용차의 전철을 그대로 밟는 모양새다.
한국GM의 모태인 대우자동차는 경영 악화로 워크아웃에 들어갔다가 2000년 11월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2001년 GM에 매각됐다.
이후 사명을 한국GM으로 바꾸고 쉐보레 브랜드를 도입하며 재기를 모색했다.
한동안 잘 나가는 듯했던 한국GM은 GM의 대대적인 글로벌 사업 재편과 함께 2013년부터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상하이차와 마찬가지로 대주주인 GM은 철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산업은행과 정부에 유상증자 참여 등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GM 역시 ‘먹튀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
일각에서는 GM이 한국GM을 상대로 ‘고리대금’ 장사를 해왔다거나, 부품·제품 거래 과정에서 한국GM이 손해를 보고 이익을 본사나 해외 GM 계열사에 몰아줬다는 등의 의혹이 제기된다.
특히 한국GM이 엄청난 연구개발비를 부담했음에도 이로 인해 형성된 무형자산은 모두 GM 본사의 몫이 됐다는 지적과 관련 금융감독원이 연구개발비를 부풀린 정황이 있는지 조사에 나선 상황이다.
아울러 강성 노조 문화로 경영난 속에서도 고비용·저효율 구조를 개선하지 못한 점은 쌍용차 때부터 현재 한국GM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만일 정부 지원이 없다면 GM의 군산공장 폐쇄 이후 수순은 쌍용차와 유사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