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정상이 지난 27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조성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서해 5도 조업에 일대 변화가 예상된다. 한반도의 화약고로 불리던 이곳에도 평화가 찾아올 것으로 어민들은 크게 기대하고 있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 공동선언문에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 해역을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우발적 군사적 충돌을 방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당초 NLL은 남북 양측이 합의를 보기 어려운 민감한 사안이어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예상됐지만 의제에 오른 것은 진일보한 성과다.
그러나 지난 2007년 2차 남북 정상회담 때도 합의됐지만 실현되지 못했고 지난 2007년과 2012년 대선에서 ‘노무현 정부의 NLL 포기’ 논란도 낳았던 곳이어서 앞으로의 결과가 주목된다.
서해 NLL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드는 것은 비무장지대(DMZ)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든다는 이번 정상회담 합의의 연장선에 있다. 서해 NLL 일대는 1999년 제1연평해전, 2002년 제2연평해전, 2010년 천안함 폭침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 등 북한의 고강도 도발이 이어져 DMZ보다 긴장도가 높은 곳이다. 이에 따라 NLL 일대 평화수역 문제는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다음 달 열릴 남북 장성급 회담에서도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아무튼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인정하겠다는 굳은 의지가 표명돼야 실천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남북 대치의 최전선을 평화수역으로 조성하면 서해 NLL은 남북 화해를 상징하는 ‘바다의 개성공단’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서해 5도 어민들은 섬 북쪽의 NLL 해상에서는 군사적 위험 때문에 조업이 금지돼 있다. 바다의 휴전선이나 마찬가지여서 남북 어선 모두 조업할 수 없는 금단의 해역이다 보니 ‘물 반 고기 반’인 황금어장이 형성돼 있다.
박태원(58) 연평도 어촌계장은 “공동선언문에 담긴 서해 NLL 평화수역 조성은 그동안 서해 5도 어민들의 주장이 사실상 수용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군사적 도발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NLL 인근 해상으로 올라가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다면 꿈만 같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를 계기로 이 지역 어민들의 조업에도 평화를 가져온다면 큰 수확이다. 공동으로 중국 어선들도 단속하면서 황금어장을 지킨다면 더없이 좋은 일이다. 서해5도 어민들은 이달 초부터 ‘서해5도 한반도기’를 달고 조업에 나서 평화수역 지정이 절박하다는 것을 염원했기에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