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수돗물 불소화 시민이 원하면 중단하라

18년 째 시행하고 있는 안산시의 수돗물 불소화사업에 주민들이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13개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안산시 수돗물불소화 중단촉구 시민모임’은 지난 26일 오전 10시 안산시청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돗물 불소화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시민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대구시의 수돗물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보다 훨씬 높게 검출됐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다. 낙동강을 상수원으로 하는 대구 수돗물의 과불화화합물 농도는 78.1ng(나노그램)으로 한강을 식수원으로 하는 서울 수돗물의 15ng과 비교해 봤을 때 5배 가량 높았다는 것이다.

과불화화합물은 지난달 29일 환경부가 라돈과 함께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새로 지정한 물질로서 주로 표면 보호제로 카펫, 조리기구, 종이, 소화용품, 마루 광택제 등에 쓰이며 방수효과가 있어 등산복 등에 쓰인다. 이 물질은 동물실험에서 체중감소,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혈액응고 시간 증가, 갑상선 호르몬 변화 등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 점에 대해 환경부는 “우려 수준은 아니지만 선제 대응 차원에서 과불화화합물을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도 “과불화헥산술폰산이란 과불화화합물이 배출된 것은 사실이지만 발암물질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를 지켜본 안산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게 아니다. 불소가 포함된 수돗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일부 주민들은 안산시 수돗물에 불소가 포함됐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수돗물 불소화 논란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제기돼 대부분 지자체가 이 사업을 중단한 상태다. 전국 299개 기초자치단체 중 9개 시·군만이 이를 시행하고 있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안산시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치예방을 목적으로 지난 1981년 진해시에서 시작된 수돗물 불소화사업은 이처럼 사라지는 추세다.

불소의 유해논란을 떠나 수돗물은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누구에게나 안전해야 한다. 그래서 정수과정에서 맛, 냄새 유발물질뿐 아니라 유해 가능한 성분 등 순수한 물 이외의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게 맞다. 충치예방을 하겠다면 수돗물에 일률적으로 불소를 넣는 것보다 원하는 사람에게 불소용액 양치사업을 하면 된다. 일반 시민이 먹는 수돗물에 불소를 섞는 것은 ‘강제적 의료 행위’일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기에 시민이 원하지 않는다면 수돗물 불소화사업은 중단하는 게 옳다고 본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