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버들치

                          /김왕노

나는 네 말이 내게 왔다가 사라지는 줄 알았다.

한 두레박 우물물이었다가

개울물로 흘러가 돌아오지 않는 줄 알았다.

구름이 되었다가 지리멸렬하는 줄 알았다.

한 시절 억새로 나부끼다가 가는 줄 알았다.

네 말이 여름 철새로 멀리 이동하는 줄 알았다.

미루나무 노란 단풍잎이었다가 지는 줄 알았다.

나는 네 말이 그렇게 떠나는 줄 알았다.

물이끼 푸른 징검다리 아래서 개울을 건널

내 콩콩 발소리 기다리는 버들치인 줄 몰랐다.

그리움을 물풀처럼 물고 사는 버들친 줄 몰랐다.

작은 지느러미 파닥이며 사는 버들치인 줄 몰랐다.

 

 

버들치는 1급수 상류에서 산다. 그만큼 깨끗한 계곡에 서식하며 강 버들 밑에서 유영하는 것을 좋아하므로 버들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런 유래를 먼저 알면, 이 시의 지향점이 얼마나 청정한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네 말이 내게 왔다가 사라지는 줄 알”고 무심히 지나쳐 버리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뒤늦게 네 말은 “내 콩콩 발소리 기다리는” 근원이며 “그리움을 물풀처럼 물고 사는” 원동력이며 “작은 지느러미 파닥이며 사는” 그야말로 담백한 버들치하는 것을 클로즈업 시켜 보여준다. 요즘 우리는 좋은 학벌, 많은 돈, 넓은 집 등등 물질적으로 세속화된 삶을 추종한다. 그런데 몸과 마음이 피곤할 뿐, 행복하지 않다. 이럴 때 이 시는 버들치처럼 청량함을 선사한다. 버들치! 라고 발음해 보면 싱싱한 물고기처럼 살아 파닥이는 감칠맛과 함께 미소가 번지고 범사에 그저 감사하는 마음이 든다./박수빈 시인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