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3일, 주사위는 던져졌다.”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은 22일 막판 표심잡기 경쟁을 치열하게 펼쳤다.
송영길·김진표·이해찬 후보는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는 8·25 전국대의원대회를 사흘 앞두고 특히 대의원 표심 공략에 지극 정성을 들였다.
전체 투표의 45%를 차지하는 대의원들의 현장투표가 승패를 좌우할 핵심 요인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 후보는 이날 지역을 부지런히 돌며 표심 긁기에 온 힘을 다했다.
송 후보는 대의원이 가장 많은 서울과 경기지역을 돌았다. 김 후보는 광주·전남지역 대의원과 만나는 데 힘을 쏟았다. 이 후보는 서울지역 순회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대의원 등을 만났다.
당 중앙위원, 지방의원, 지역위원장 등 1만5천여 명 대의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면 전당대회 당일 선거전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현장 연설 준비 등에도 신경을 썼다.
당 관계자는 “대의원 1만5천명 명단이 캠프별로 교부가 된 상황이라 전화나 접촉 등을 통해 대의원들 마음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현장 분위기가 중요한 만큼 연설도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거티브 선거전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네거티브를 멈춰야 한다”며 “당이 전대를 축제의 장을 만들지는 못해도 제살깎아먹기를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각 후보 캠프는 이전투구로 전락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송 후보 측 관계자는 “진흙탕 싸움이 될까 봐 그동안 아무 말을 안 했는데 상대 캠프 쪽에서 먼저 공격을 해서 대응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네거티브를 일절 하지 말라는 지침이 있었던 상태”라며 “네거티브를 잘못하면 역풍이 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당 선거 이후 후폭풍 등을 고려해 네거티브는 안된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원팀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3일 전, “네거티브 보다 정공법이 답”이라는 일부 당관계자들의 조언이 어느 정도 후보들에게 설득력을 얻을지가 당락의 변수로 자리잡을 시점이다.
/최정용기자 wes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