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산하 출자·출연기관 기관장 임용 시 인사청문회와 같은 인사검증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전문성이 부족한 인물의 낙하산 인사를 막고 공정성·투명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임채덕 화성시의회 교육복지위원장은 지난 10일 열린 제175회 정례회의 시정 질의에서 “화성시인재육성재단이 1억 원에 달하는 장학금을 부정 지급했다는 언론보도 사례를 접했다”라며 “기관장 채용 시 전문성을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위원장은 “(인사검증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정실 인사로 인해 전문성이 결여된 기관장이 중책을 맡게 되고, (장학금 부정지급 같은) 폐단을 야기해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겨우가 생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렇기 때문에 산하기관의 기관장 채용 시 업무의 전문성, 도덕성, 책임감 등을 공개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인사청문회와 같은 인사검증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의 이같은 발언은 그동안 관행적으로 진행돼온 정실인사, 코드인사, 보은인사의 부작용을 막기위해 시의회 차원에서 인사검증 시스템 구축에 나서는 신호탄이 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 서철모 시장은 “기관장 채용 시 구성하는 임원추천위원회에 보다 뛰어난 위원을 섭외하고, 기존 면접을 심층면접으로 기능을 강화하는 등 기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관장을 채용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에둘러 말했다.
그러면서 “민선7기 산하 기관장 임명의 원칙은 능력본위이며, 운영에 있어서는 지원은 하되 간섭을 최소화하고 경영실적 평가를 통한 책임경영 원칙을 철저히 구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화성시인재육성재단 이사장은 전임 채인석 시장 시절 임명됐고, 낙하산 인사라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돼 왔었다.
/화성=최순철 so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