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열리는 제101회 전국체육대회 개최지인 경상북도가 정부에 대회 연기를 건의하면서 체육계가 혼란에 빠졌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영상회의에서 “전국체전에 선수 등이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 되고 안전이 최우선이다”라며 “방역 당국과 문화체육관광부가 논의해 올해 대회를 연기해 내년에 여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경상북도와 주개최지인 구미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수도권에서 이어지고 가을에 다시 유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터라 선수와 국민 안전을 고려해 연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체전을 하더라도 무관중 경기와 해외선수단 불참, 종목별 분산 개최 등 반쪽 대회로 전락할 우려가 있고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경북 관계자는 “2021년 체전을 여는 울산 등 순서가 정해진 광역단체에 협조를 요청하고 정부에 1년씩 연기해 개최하는 방안을 건의했다”며 “총예산 1천495억원 가운데 시설비로 1천290억원을 투자한 상황이라 취소해서는 안 되고 내년으로 연기해 정상 개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국체전이 연기될 경우 전국장애인체육대회와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 전국생활체육대축전도 순차적으로 연기되게 된다.
이철우 지사의 이같은 요구에 문화체육관광부는 대한체육회, 방역당국, 차기 대회 광역단체와 협의해 최선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했지만 전국체전을 주최하는 대한체육회의 입장은 난감하기만 하다.
이미 내년 제102회 대회부터 2024년 제105회 대회까지 개최지가 결정돼 내년 대회는 울산, 2022년은 전남, 2023년은 경남, 2024년은 부산이 각각 개최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경북의 전국체전 개최 연기 요구 소식을 접한 송철호 울산시장이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내년 울산에서 열리는 전국체전의 개최에는 변화가 없고, 지금까지 준비해온 대로 열 것이라는 것이 현재 입장이며 상황은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밝혀 대한체육회의 입장이 더욱 난감해졌다.
전국종합체육대회 규정 제20조(개최지 시·도지회의 의무) 3항에는 ‘전국체육대회 등의 개최가 결정된 시·도지회가 개최시기의 변경을 하고자 할 경우 기 결정된 시·도지회의 광역자치단체장과 사전 협의한 후 체육회가 최종 승인하여 변경할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차기 개최지의 동의 없이는 개최 연도를 변경해 연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대한체육회 입장을 들으려했지만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아 입장을 들을 수 없었다.
제101회 전국체전은 오는 10월 8∼14일, 제40회 전국장애인체전은 10월 21∼26일 구미를 중심으로 도내 12개 시·군에서 열릴 예정이며 전국체전은 중·일전쟁과 6·25전쟁 첫해에만 취소됐을 뿐 연기된 적은 한 번도 없다.
/정민수기자 j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