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는 앞으로 ‘스마트 그린 광명’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친환경 미래 운송수단 보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9일 밝혔다. 친환경 미래 운송수단의 확대는 지난 7월 정부에서 발표한 ‘그린뉴딜’ 8대 추진과제 중 하나다.
광명시는 수도권 서남부 교통요지이자 그린뉴딜 선도도시로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친환경 승용차·버스·트럭 등의 보급 확대 및 충전 인프라 확충 등 그린 모빌리티로의 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2025년까지 광명시 내 친환경차 3000대 보급을 목표로 적극적인 캠페인 및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사업을 진행 할 예정이며, 관내 경유버스를 친환경버스로 전면 교체하는 대중교통 그린 모빌리티 사업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러한 사업 추진을 통해 운송 분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광명시는 관내에 등록된 전기차의 차종별 보급현황 및 수요를 파악하여, 필요에 따라 차종별로 차등지급 할 수 있도록 친환경차 시비 보조금 지급 기준 개편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가의 전기차에 지급되는 보조금을 줄이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에서 구매력이 낮아진 중산층 및 서민층이 주로 구입하는 중저가 전기차 보조금을 확대함으로써 전기차의 보급을 촉진하는 한편 불평등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더불어서 친환경 자동차를 구입·운행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공공부지 내 주차 공간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박승원 광명시장은 “우리 광명시는 서울과 인접해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 서남부 교통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며,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스마트 그린 광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친환경 운송수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확대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박승원 시장은 “기후위기는 이미 잠재적인 위험이 아니라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이상기후 등 우리 코앞에 닥쳐있는 문제”라며, “광명시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와 불평등 완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그린뉴딜 관련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광명 = 김원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