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수원시 영통구 수원출입국외국인청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외국인들이 업무를 마치고 나서고 있다. [ 경기신문 = 황준선 기자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00937/art_15997275269127_3e2b15.jpg)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지 11일이 넘어가는 가운데, 수원출입국외국인청이 코로나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속 기관인 수원출입국외국인청(수원외국인청)은 출입국 및 외국인과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외국인에 대한 사증발급인정 발급, 외국인 등록, 체류기간 연장, 귀화·난민심사 등 사증 및 체류관리 업무를 총괄한다. 다시 말해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 전용 행정기관인 셈이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시청과 경찰은 민원인의 방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콕민원을 적극 홍보하며 추진하고 있다.
수원외국인청도 여권 갱신·재발급 등 현장을 방문할 수 밖에 없는 점을 감안해 민원인들의 동선이 최대한 겹치지지 않도록 예약 방문제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제도를 모르는 외국인들은 여전히 수시로 수원외국인청을 방문하고 있어 이들은 물론 주변 상인들과 지역 주민들까지도 코로나19 감염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영통지역은 중심상가 등 번화가로 지역감염 확산 위험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수원외국인청이 운영하는 예약 방문제는 하루 평균 350명 안팎이 예약할 정도로 예약이 폭주하고 있지만, 체류기간 만료로 긴급히 민원 업무를 보려는 외국인들의 방문을 무조건적으로 막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예약 방문제에 대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수원외국인청은 수원을 비롯해 용인, 화성, 군포, 의왕, 광주, 여주, 이천, 양평 등 도내 9개 지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의 방문이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외국인들이 드나드는 건물 안쪽 길목에서는 2명의 관리자가 열화상 카메라 등을 이용해 발열 및 마스크 착용을 체크하고 있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혹은 코로나19 예방과 관련한 안내를 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게다가 체류 관련 증명서류를 발급하는 창구가 모여 있는 1층 C구역(100㎡ 남짓한 공간) 민원 대기 좌석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안내스티커가 붙여 있는데도 일부 외국인들이 붙어 앉아 있었지만 일부 외국인들이 붙어 앉아 있었고, 이들에게 떨어져 앉도록 안내하는 관리인력도 없었다.
수원시 영통동 주민 정도이(27)씨는 “집과 수원외국인청의 거리가 불과 50m도 안되는데 이렇게 많은 외국인들이 방문함에도 코로나19 예방 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하니 황당하고 불안하다”며 “가끔 그 앞을 지나가다가 보면 외국인들이 정말 많이 방문한다고 생각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외국인 감염 비중이 훨씬 높았었는데 다들 잊은것 같다”고 말했다.
법무부 체류관리과 관계자는 “법무부는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온라인 등 비대면 민원처리 시스템을 확충해 운영하고 있다”며 “일부 외국인 체류관리 업무의 경우 현장 방문이 불가피한 점을 감안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박한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