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가 시민들의 최대 관심사중 하나이며 시의 숙원 사업이기도 한 진접선(4호선 연장) 개통 연기와 관련, 오는 13일 주민설명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진접선은 당초 내년 5월말 개통 예정이었으나(본지 9월26일 8면 보도),뒤늦게 진접선 연장이 확정되면서 창동에 있던 운영필수시설 (유치선)의 별내동 이전 문제가 대두되고 남양주시와 서울시간에 이전 협의가 진통을 겪으면서 개통이 7개월 지연됐다.
시는 이와관련, 개통 지연 등과 관련한 잘못된 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민 우려를 불식시키고 갈등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국토부를 비롯한 서울시, 국가철도공단,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1차는 오전 10시 진접체육문화센터(진접·오남권역)에서, 2차는 오후 3시 별내동주민자치센터(별내권역)에서 각각 열린다.
시는 기존의 국가철도사업 지방비 분담률 사례를 근거로 경기도에 진접선 건설에 따른 지방비 분담률을 도비70%, 시비30%로 지속 요구했으나 협의 장기화로 사업 지연이 우려됨에 따라 도비50%, 시비50%로 협의하고 시비 400억여원을 더 부담하면서까지 시민편익과 정상개통을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에앞서,조광한 남양주시장은 지난달 29일 진접선 운영필수시설 이전 합의서 입장문 발표를 통해 서울시와의 합의 과정을 설명하고, 2021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관계기관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시민들에게 약속한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설명회는 관계기관 합동으로 정상개통을 위한 추진일정을 설명하고 시민들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수렴할 계획”이며 “시민들의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기 위해 관계기관들과 협의를 통해 교통대책 마련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진접선 복선전철 사업은 서울지하철 4호선을 노원구 당고개역에서 진접까지 14.89km를 연장하고 정거장을 3개소 신설하며, 차량기지를 이전하는 사업으로, 기존 광역철도사업운영방식과 달리 각 기관별로 이해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공정은 약 72% 정도 진행됐다.
[ 경기신문/남양주 = 이화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