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코로나19라는 사상 최악의 위기 속에서도 2020년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지난 4일 이사회를 열고 매출 7조4050억 원, 영업이익 2383억 원, 당기순손실 2281억 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2020년 잠정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코로나19로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40%가 줄었고 여객 매출은 74% 감소했다. 하지만 화물기 가동률을 높이고 유휴 여객기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을 토대로, 화물 매출은 4조2507억 원을 기록하며 2019년의 2조5575억 원과 비교해 66% 늘었다.
여기에 코로나19 진단키트와 자동차 부품의 수요가 증가했고, 일부 해운수송 수요가 항공수송으로 몰리면서 항공 화물 매출의 증가폭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영업흑자 달성은 화물사업부문의 선방과 함께 전사적인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 노력이 뒷받침 됐다. 항공기 운항 감소로 연료 소모량과 항공유 비용이 낮아졌으며 시설 이용료를 비롯, 순환직원 인건비 절감도 한몫을 더했다.
델타, 아메리칸, 유나이티드, 재팬항공 등 대부분의 글로벌 항공사들의 경우 정부로부터 수 십조 원 규모의 막대한 자금을 지원받았음에도 불구 60억~120억 달러 수준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을 회복하지 못하는 경영 악화에 신음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로 여객기의 대부분이 멈춰서자 지난해 4월부터 전 직원들이 연말까지 돌아가며 휴업에 들어갔다. 노동조합도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위한 고통분담의 일환으로 기꺼이 동참하는 등 임직원들의 헌신이 이번 영업흑자로 이어진 것
화물사업의 선방도 빼 놓을 수 없다. 유휴 여객기를 활용해 국내 최초로 화물기로 개조해 운항하는 등 공급력을 늘렸다. 항공화물을 운송한 것만 연간 4500편 이상이다. 여기에 전 세계적으로 항공화물 수요 대비 항공화물 공급 감소로 인한 항공화물 운임 강세까지 겹쳐 좋은 결과를 낳았다.
특히 뼈를 깎는 자산매각 등 선제적인 자구노력을 통해 자본을 확충하고 체질개선에 힘을 쏟았다. 지난해 1조1193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진행했으며 기내식기판사업을 9817억 원에 매각했다.
그룹이 소유한 부지매각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안정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아시아나항공 인수도 결정했다. 올해 3월 예정된 3조3000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진행, 자본을 확충해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를 향상시킬 방침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올 한해 탄력적으로 항공화물 공급을 조절하고 시장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등 현재 항공화물 사업 전략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 코로나19 백신수송 T·F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