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노인일자리 사업개발비’가 허투루 쓰이고 있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사용된 노인일자리 사업개발비는 4억8842만 원이다. 지난 2019년 1억42만 원에서 지난해와 올해에는 1억9400만 원으로 늘렸다.
사업개발비는 시장형 노인일자리의 신규 창출과 개발을 위해 쓰여야 한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남동구의 한 실버택배사업단은 사업개발비로 공기청정기와 냉장고를 샀다. 또 계양구의 한 실버카페는 커피머신과 제빙기 등을 구입하는 데 썼다.
노인일자리사업은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등 3개 유형으로 추진된다. 일자리 대다수를 차지하는 공익활동형은 주정차질서, 환경개선(청소), 교통지원 등 공공시설 봉사로 이뤄진다.
반면 사회서비스형과 시장형은 돌봄시설·보육시설, 장애인 관련 시설 근무와 실버카페 운영, 물품제작을 위한 공동작업장 근무 등 비교적 생산적인 일자리다.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사태로 노인일자리 범위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대면이 어려워지면서 봉사형 노인일자리 마저 단순 캠페인 활동이나 코로나19 소독 활동으로 대체됐다.
지난 4월에는 인천의 한 어린이집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일어나 노인인력 파견을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노인 일자리의 다변화가 시급하지만 시가 3년 간 사업개발비를 쓴 47건 중 신규 사업을 개발하는데 들어간 돈은 없었다.
전재운 인천시의원은 “노인일자리 사업개발비가 명칭과 다르게 대부분 용품 구입에 사용됐다”며 “어르신들에게 일에 대한 성취욕을 느끼게 하고 사회공헌을 통해 자긍심을 심어주는 것도 우리사회가 해야 할 몫”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는 일자리가 공익활동형에 너무 치우쳤다”며 “사회 구성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양질의 시장형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시 관계자는 “노후된 집기를 바꾸고 리모델링 등으로 환경을 개선하면 손님 증대와 함께 노인일자리 경영여건이 나아진다”며 “사업개발비라는 명칭 때문에 혼동이 올 수 있지만 당초 지침을 정할 때 이 같은 경우도 고려됐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