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는 자동차운반선 선복량 부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던 인천항 중고차 업계의 운영이 정상화 궤도에 진입했다고 4일 밝혔다.
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항은 전국 중고차 수출량의 약 90%를 담당하는 중고차 수출 허브 항만이나 코로나19로 인한 수출물량 급감 예상에 따른 자동차운반선 콜드레이업 조치, 신차 계약물량에 우선순위 밀림 등으로 중고차 수출 선복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지난해 하반기 이후 수출 대기 중인 중고차 적체 문제가 두드러졌다.
이에 공사와 선사, 인천항 부두운영사 등 민·관·공은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먼저 공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6개월 간 자동차운반선에 대한 부두 사용료 100% 면제 정책을 시행해 총 6억 4000만 원에 달하는 금액을 감면하고 자동차 운반선의 신규 입항과 중고차 선적을 유도했다.
또 내항 부두운영사와 협조를 통해 중고차 야적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던 약 21만㎡규모의 야적장을 신규 발굴, 업계에 긴급 제공했다.
이와 별도로 EUKOR 등 주요 자동차운반 선사는 수출업계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선사의 경영부담에도 콜드레이업 상태의 선박을 조기 정상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로 인해 당초 올해 말 예정이었던 선박 운항재개가 지난 5월로 앞당겨지면서 인천항 중고차 수출 정상화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뿐만 아니라 공사와 선사 측 물류사는 수출용 중고차에 바코드를 부착해 차량위치 및 상태를 파악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을 지난해 11월 개발, 야적장 관리효율을 증대시키고 선적시간을 단축했다.
아울러 공사는 인천항 중고차 수출산업 선진화를 위해 약 40만㎡규모의 ‘스마트 오토밸리’ 조성사업을 추진, 연내 사업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자동차운반선 감면이 시행된 6개월 간 인천항 중고자동차 수출실적은 15만 2000대를 기록, 최고 실적을 달성했던 2019년 동기의 14만 3000대를 경신했다.
김재덕 공사 물류전략실장은 “중고차 수출업계의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각 항만 주체가 해결방안을 적극 모색한 것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향후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업계 동향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