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 문화재단이 공모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추천에 의한 강사채용에 행감에서 발목 잡혔던 지적된 상항에 대해 시의회의 조사특위로 이어질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는 시의회가 김포문화재단 본부장 추천에 의한 강사 선임 등에 관한 사항이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한 바 있으나 국민의 힘 소속 시의원들이 다시 한 번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조사 특위 구성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가 지난 달 열린 제210회 정례회 김포문화재단(대표이사 안상용) 행감에서 1억 원의 예산으로 강사료를 지급하는 시민예술아카데미 강사 채용과 관련해 평화문화본부장이 공모를 하지 않고 지인들의 추천으로 강사를 채용한 사실이 공개됐다.
시의회가 지적한 내용 중 러시아 유학파가 많은 강사들의 이력을 볼 때 러시아에서 유학을 한 평화문화본부장이 특혜를 준 것이라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이뿐만 아니라 시의회는 안상용 문화재단 대표이사의 2015년 밀라노엑스포 한국관 감독 역임에 대해 의문까지 제기하며 추가자료 제출을 요구했으나 지금껏 논란은 가시지 않고 있다.
여기에 또 김포예술활동지원사업인 ‘예술아람’ 대상자 선정에서 오랫동안 지역 문화예술활동을 이어오던 단체들이 대거 탈락해 선정 기준과 절차를 놓고도 집중적인 지적을 받았다.
국민의힘 B시의원은 “행감 결과보고서에서 감사담당관실에 김포문화재단 감사를 요청했으나 아직 이행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행감에서 지적됐던 추천에 의한 강사 채용의 위법성, 대표이사 경력의 진정성 여부 등에 대해 추가적으로 짚어봐야 할 사안들이 많기 때문에 조사특위 구성이 반드시 필요해 여야 간 협의를 통해 오는 16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 안건이 상정되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C시의원은 이와 관련해 “아직까지 야당으로부터 조사특위 구성에 대해 공식 제안을 받은 바 없고, 행감 결과보고서에서 ‘김포문화재단의 시민예술아카데미 강사 채용에 있어 공개모집 절차 없이 자의적으로 채용한 것에 대한 위법 여부를 조사해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기 바란다’고 감사담당관실에 요구한 만큼, 그 결과를 보고 조사특위 구성문제를 논의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시의회가 더불어민주당 7명, 국민의힘 5명으로 이뤄져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조사특위 구성 합의는 어렵지 않겠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 경기신문 = 천용남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