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최광범의 미디어 비평] 원칙 없는 기사형 광고는 사기다

 

연합뉴스가 한국 언론사에 남을 큰 일(?)을 했다. 연합뉴스 덕분에 앞으로 뉴스 소비자들은 언론사가 돈을 받고 써대는 홍보성 기사에 속을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21일 언론전문지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연합뉴스는 수익사업 전문조직인 홍보사업팀에서 홍보성 기사를 작성해, 2019년 10월부터 네이버에 2000여 건을 송출했다. 보도자료는 ‘기사’가 아닌 ‘보도자료’란에 송출해야 함에도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광고를 기사로 포장했다는 것이다. 불량식품을 정상식품 코너에 진열해 판매한 꼴이다. 


포털의 언론사 제휴 심사를 담당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지난 13일, 연합뉴스에 ‘한 달 노출중단 제재 및 재평가(퇴출평가)에 해당하는 벌점’을 의결했다. 연합뉴스의 소명을 거친 후 최종 확정된다.


기사형 광고는 도입 초기부터 논란이 됐다. 언론의 신뢰를 잠식한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광고 유치에 혈안이 된 신문사들이 쉽게 문을 열어버렸다. 2002년 신문윤리위원회가 주최한 전국 일간지 광고국장 세미나 주제가 ‘기사형 광고의 윤리 문제’였다. 기사형 광고는 언론 보도가 진실일 것이라고 믿는 뉴스 소비자를 기만했다. 미디어오늘의 용기 있는 보도를 통해 공론화됐지만, 한국언론계에 만연된 관행이었다. 그럼에도 연합뉴스에 대한 비판이 유독 높은 이유는 매년 300억원이 넘는 국가예산을 지원받고 있는 공영언론이 돈벌이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일부 민영언론과 뭐가 다른가에 대한 분노다. 


인터넷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신문, 방송, 통신사가 뉴스공급 플랫폼을 대별했지만, 뉴스 소비자들이 통신사 뉴스를 직접 접할 기회는 많지 않았다. 신문사나 방송사가 전재하거나 인용해야 접할 수 있었다. 디지털 혁명은 통신사에겐 기회였다. 포털이 뉴스유통시장을 장악한 한국의 현실에서는 더했다. 과거 통신사는 뉴스를 뉴스 전문기업인 신문, 방송사에 판매해 일종의 뉴스 도매상이었다. 포털을 통한 뉴스소비가 대세를 이루면서 통신사는 뉴스를 독자에게 직접 파는 소매업까지 가능해졌다. 연합뉴스는 여기에 국가기간통신사라는 이름으로 국가예산지원까지 받아 삼중 안전망을 구축하게 됐다. 


국가기간통신사? 고개를 갸웃하는 국민들이 많다. 조금 관심이 있어야 공영방송 비슷한 공영통신사 정도로 받아들인다. 공영방송조차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 공영통신에 대한 국민적 동의 수준의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국민적 공감을 넓히는 게 급선무다. 그러기 위해선 이번 사건이 전화위복이 돼야 한다. 


그 답은 멀리 있지 않다. 세계 최저수준의 한국 저널리즘 신뢰도를 복원하는데 연합뉴스가 중심역할을 해야 한다. 허위정보를 검증해주는 마지막 보루여야 한다. 이념적으로 양분돼 있는 정치기사를 상식적 기사로 이끌고, 자본의 눈치보기에 외눈박이가 된 기업뉴스의 균형을 잡아주는데 앞장서야 한다. 마침 연합뉴스가 새 사장을 공모 중이다. ‘신뢰 퍼스트’를 이끌 인사가 선정돼, 진정한 국가기간통신사로 이끌어 갔으면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