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홍근 원내대표는 20일 “지지율 급락(원인)은 권력 사유와 인사 난맥, 경제·민생 무능에 대해 대통령의 오만과 불통이 더해진 결과다”라며 윤석열 정부를 직격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단체 대표 연설에서 “출범 두 달 만에 새 정부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정권 말기의 레임덕 수준”이라며 현 정부의 인사 참사를 지적했다.
그는 “부적격 사유가 명백했던 정호영, 김승희 후보자는 시간을 질질 끌며 인사 강행의 명분용으로 활용하느라 코로나 재확산 국면에 복지부 장관이 공석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만취 운전 등으로 낙마사유가 분명한 박순애 교육부총리의 임명을 강행하고 ‘언론과 여당에 공격 받느라 고생많았다’며 당연한 검증 과정에 대해 부당하다는 식으로 반응했다”며 이것은 정부가 쓴소리에 귀를 닫은 ‘오만과 불통’이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검찰 출신 기용과 지인·친인척 채용 등 논란을 일일이 언급했다.
“대통령의 측근 챙기기는 도를 넘은 지 오래다”라며 “박근혜 정부 청와대 문고리 3인방에 빗대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은 이른바 ‘문고리 육상시’에 의해 장악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사적 채용 측근 불공정 인사 등으로 드러나고 있는 대통령 권력의 사유화는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경고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현 정부에게 정치보복 수사를 멈추고 ‘민생’을 최우선 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윤 대통령과 정부·여당에 촉구한다. 국정 운영의 기본으로 돌아와 경제와 민생에 집중하라”며 “원내 제1당인 민주당은 경제와 민생을 제대로 챙기는 일이라면 초당적으로 협력할 것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당부했다.
또 고유가·고물가·고금리 등 현재 진행형인 경제위기를 언급하며 “윤석열 정부는 대선 이후 인수위 두 달 동안 허송세월만 했다”며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강행하느라고 정작 챙겨야 할 경제와 민생은 뒷전이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취임하고 한 달이 지나서야 5대 부문 구조개혁을 담은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지만 사회적 합의도 안 된 이런 중장기 구조개혁이 과연 당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을 위한 대책이 되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당장 숨넘어가는 사람에게 목숨 살릴 처방은 하지 않고 체질 개선하라고 주문하는 셈”이라며 “경제는 다급한 비상 상황이고 민생은 깊은 위기 속에 놓였는데 정작 대통령은 보이지 않았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대표 연설의 3분의 2를 정부와 야당에 대한 비판에 할애한 박 원내대표는 끝으로 지난 선거 결과에 대한 반성의 뜻을 밝혔다.
그는 “민주당은 지난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표출된 민심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2017년 대선 이후 연이은 선거 승리, 특히 압도적인 총선 승리와 의석 수에 취해 오만과 독선에 빠지지 않았는지 깊이 성찰한다”며 “무엇보다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데 부족함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는 “복수정당제에서 각 정당은 누구를 대변하는지,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며 “민주당의 부족한 점은 질책하시면서도 민주당이 새로운 미래를 담대하게 열어갈 수 있도록 늘 함께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