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13일 ‘2022년도 제1회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제출된 예산안은 총 24조 2021억 원으로 기정예산 19조 1959억 원보다 5조 62억 원이 증액됐다.
세출 예산안 5조 62억 원 중 가장 많은 금액을 차지하는 사업은 재정건전성 강화 사업이다. 도교육청은 이 사업에 3조 209억 원을 편성해 예측할 수 없는 수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1조 6307억 원은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정책 사업을 위한 통합재정안정화기금, 1조 1467억 원은 노후된 교육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으로 사용될 방침이다. 또 지방채 상환을 위한 2435억 원도 추가됐다.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은 1조 1342억 원이 편성됐다. 노후 화장실 개선, 석면 제거 등 교육환경개선사업을 위한 7345억 원,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학교 신‧증설 사업에 1810억 원이 포함됐다.
교육복지 내실화 사업은 총 1927억 원으로 1068억 원은 유치원 유아학비 및 어린이집 보육료 인상분 지원, 532억 원은 물가인상에 따른 식품비 단가 충족을 위해 사용될 방침이다.
미래교육 기반조성 사업는 총 3833억 원이다. 3200억 원은 1인 1스마트기기 및 교실정보화기기 보급, 449억 원은 디지털교육 활성화에 사용될 전망이다.
이 밖에 교육과정 다양화 사업에 1812억 원, 교육행정일반 사업에 939억 원이 편성됐다.
이날 도교육청은 남부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예산안을 ▲학생 스스로 미래역량을 키우는 미래교육 ▲학습결손과 사회성 회복 위한 학력 향상 추진 ▲과밀학급 해소와 교육환경 개선을 중점으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미래교육과 학력 격차 해소 등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공약 사업을 예산에 반영했다”며 “학생들이 겪고 있는 학습결손과 사회성 회복 지원, 과밀학급 해소 등 교육환경 개선을 최우선으로 두고 편성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