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주민참여예산 민관협치형 제안사업에 대한 도민참여와 예산 반영을 높이기 위해 사전설명회·컨설팅, 정책 공감 공론장, 숙의 워크숍 등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도는 우선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사전설명회를 10여 차례 진행하고 제안사업 실효성 강화를 위해 전문가 사전 컨설팅을 운영, 제안 건수가 지난해 46건에서 올해 68건으로 증가했다,
도는 제안된 사업의 적합성과 타당성 제공를 위한 기초심사를 도입해 68건 중 52개 사업을 심의했다.
또 제안자와 관계자 7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선정된 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정책공감 공론장도 개최했다.
다음 달 4~5일에는 정책 공감 공론장에서 결정된 46개 제안사업을 두고 민관 숙의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를 통해 사업부서와 제안 도민이 만나 도의 상황과 현실에 맞게 사업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협치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김기은 도 소통협치관은 “주민참여예산 민관협치형이 올해로 4년째 운영되고 있는 만큼 무엇보다 도민의 직접적인 참여와 권한을 더 넓히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관협치형 주민참여예산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민관 협치를 통해 더 많은 제안이 사업화된다면 도민이 원하는 사업으로 도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주민참여예산 민관협치형 제안사업은 예산 편성 과정에 도민참여를 보장하는 제도로 2020년 처음 도입돼 그동안 60여 건, 약 135억 원의 예산이 반영돼 추진됐거나 추진 중이다.
도는 1차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계획(202~2023)이 올해 마무리됨에 따라 도정 전반에 걸쳐 민관협치 역량 확산 실현에 중점을 둔 2차 기본계획(2024~2027)을 준비 중이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