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산시의회의 대치정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장되고 있는 모양세다.
오산시체육회장의 시의장 비하 발언에서 촉발된 대립이 결국 추경예산안 갈등 파국으로 이어져 진영간 대치와 치열한 여론전으로 번지면서 장외정치 일전으로 비화되는 양상이다.
특히, 지난달 추석명절을 앞둔 27일 이권재 오산시장과 성길용 오산시의회 의장이 극적으로 합의된 성명서를 내며 의회 파행에 대한 유감의 뜻을 전한바 있다.
이날 의회는 시정에 관한 사안을 공유하여 동반자적 관계를 유지해 나가도록 협력하기로 하고 원 포인트 임시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지난 4일 279회 임시회에서 또 다시 다수당인 더불어 민주당 시의원들과 국힘 의원들간에 의견대립으로 10분도 안되어 의장이 정회를 선언하며 퇴장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당시, 성 의장이 동료 의원들과 아무런 상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이시장과 합의된 성명서를 발표하며 임시회를 개최 했다는 이유다.
이에 송진영 의원이 7분발언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고 전도현 의원도 의사발언을 통해 또 다시 체육회장의 비하발언과 현수막 철거를 문제 삼았다.
결국 조미선 의원까지 독선에 빠진 야당이라며 비판을 이어갔고 이어 이상복 의원이 성 의장에대한 불신임안에 대한 의사를 밝히자 의회에서 고성이 오가며 성 의장이 곧바로 퇴장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문제는 시의회가 본래 취지를 벗어나 정쟁화에 몰두하고 있는 정치 행각에 애꿎은 시민들의 피해만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취약계층 지원비에 ‘빨간불’이 켜졌다. 당장 기초생활보장급여비(주부식비·피복비·월동 준비비), 경기도 긴급복지지원사업비, 코로나 미지원금, 중증장애인 활동지원급여비, 저소득노인 건강보험료 지원비 등 생계지원형 사업이 모두 차질이 빚게 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번 12월 말에 위탁이 만료되는 국공립어린이집(10개소)민간위탁 동의안, 일자리 취업박람회 개최비 등 시급을 요하는 안건과 예산들이 모두 발이 묶이면서 입찰공고를 비롯해 위원회 설정 등 행정 민원 대란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고물가, 고금리로 민생경제와 시 재정여건 모두 어려운 상황에서, 추경예산 처리가 늦춰질수록 시민 고통은 가중될 것"이라며 "특히, 경제적 위험에 무방비 상태인 취약계층에게는 생존의 문제"라며 골든타임 내 조속한 예산 처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시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일부시민들은 이런 정쟁들의 발단을 두고 조력자들에 의해 꼭두각시처럼 움직이는 고질적인 정치 행태라고 지적했다.
대원 동 대표 주민 A씨는 "오산시의회는 23만 오산시민에 의해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된 합의제 기관으로, 시의원들이 자기의 의지와는 다르게 누군가의 지시에 의해서 '묻지도 따지지도 못하고 시키는 대로만 한다'면 오산시의원은 오산시민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니라 그 누군가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종이인형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 예산안'을 비롯해 조례 안 38건, 동의안 19건, 의견제시 1건 등 총 62건의 안건과 추가경정 예산 563억 원이 또 다시 무산되면서 민생사업비에 불똥이 떨어졌다.
[ 경기신문 = 지명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