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컬리가 영업손실을 줄이고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첫 흑자를 기록하는 등 기업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컬리가 IPO 성사에 한 층 가까워졌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컬리는 지난해 12월 EBITDA 흑자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015년 1월 회사 설립 이후 9년 만에 달성한 첫 월간 흑자다. 컬리의 EBITDA 흑자는 전년(2022년) 12월 대비 약 100억 원 증가했다.
EBITDA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를 빼기 전 순 이익을 의미한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로 활용된다.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수익성이 높아질수록 IPO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컬리가 처음으로 EBITDA 흑자를 냈다는 것은, 영업 활동을 통해 컬리가 자체적인 수익을 낼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된다. 실제 지난해 말 컬리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약 1400억 원으로 3분기 말 1280억 원보다 120억 원가량 늘었다.
컬리는 누적 영업 손실의 폭을 줄여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모습을 모이고 있다. 컬리의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은 2022년 동기 대비 35.5% 감소했다.
2,3분기 창원과 평택 두 곳에 신규 물류센터 오픈과 기존 물류센터의 운영 종료로 인해 일시적인 추가 비용지출이 있었지만 영업손실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또 컬리는 직접 물류비를 개선시켰다. 지난해 상반기 신규 오픈한 창원과 평택 물류센터의 생산성 증대와 기존 송파 물류센터의 철수를 통해 물류 운영 안정화 및 최적화를 이루면서 주문처리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동시에 배송단가 경쟁력을 확보했고, 배송 집적도 향상으로 효율을 극대화해 라스트마일 배송비를 낮출 수 있었다. 재사용포장재인 ‘컬리 퍼플박스’의 이용량 증가로 주문당 종이 포장재 사용량이 줄었고, 드라이아이스 생산을 내재화해 관련 비용도 함께 축소됐다.
마케팅비도 줄였다.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마케팅 채널을 선택한 것이 비용 절감에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외에도 유료 멤버십 ‘컬리멤버스’ 도입으로 고객 록인(lock-in) 효과가 나타났고, 이는 재구매율 증가로 이어져 마케팅비를 줄일 수 있었다. 인건비, IT시스템 유지비, 기타 운영비 등의 고정비도 2022년 12월 대비 소폭 줄였다.
매출원가를 줄이며 매출총이익도 개선했다. 뷰티컬리, 수수료 기반의 3P, 컬리카드, 풀필먼트서비스 등 신사업을 통한 추가 매출 증가도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탰다.
김종훈 컬리 최고재무책임자는 “컬리의 월 EBITDA 흑자는 전방위적인 구조적 개선과 효율화 노력을 통해 이룬 값진 성과”라며, “12월 흑자 달성을 동력으로, 올해 더 큰 개선을 이루는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IPO에 관해 컬리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피는 중"이라고 답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