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 개막...역대 최대 규모

역대 최대 18개국 579개 업체 참가…‘인터배터리 어워즈’ 신설
LG엔솔·SK온·삼성SDI 참여...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 선봬
배터리 콘퍼런스·전기차 전시회·잡페어 등 부대행사 풍성
산자부, 향후 5년간 배터리 R&D 5000억 원 지원 약속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4'가 6일부터 오는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번째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최다 업체가 참가를 신청하는 등 최대 규모로 꾸려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 등이 주관하는 인터배터리 2024엔 역대 최대 규모인 18개국 579개 기업·기관들이 참여해 1896개의 부스를 꾸린다. 

 

관람객 수도 지난해 기록을 넘겨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 6만여 명이 인터배터리 전시회를 찾은 데 이어 올해는 약 7만 5000여 명의 방문객을 맞을 것으로 추산된다.

 

인터배터리 2024에서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전체 가치사슬(밸류체인)별 신제품과 신기술을 만나볼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포스코 등 국내 주요 배터리 사업자들의 신기술이 전시된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참가업체 중 최대 규모인 540㎡ 규모로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자체 개발한 파우치형 셀투팩(Cell to Pack·CTP) 기술과 IT 기기용 미드니켈 소형 파우치 셀 등을 처음 공개한다. 삼성SDI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ASB) 양산 준비 로드맵을 처음 공개하고, 9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한 초급속 충전 기술을 발표한다. 

 

SK온은 에너지 밀도를 종전 대비 9% 높이면서 급속충전 시간은 유지한 어드밴스드(Advanced) SF(Super Fast·급속충전) 배터리와 급속충전 시간을 18분에서 15분으로 단축한 SF+ 배터리 등을 소개한다. 포스코는 포스코홀딩스 주도로 그룹 차원에서 전시회에 참여해 이차전지 소재 관련 '풀 밸류체인'을 선보인다.

 

최근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기술도 이번 전시회의 주요 주제다. 성일하이텍, 고려아연, 에코프로 등의 기업들은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원재료를 확보하는 리사이클링 기술,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공법을 소개한다.

 

 

인터배터리 2024에서는 올해부터 신설된 '인터배터리 어워즈' 시상식도 진행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미드 니켈 퓨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가 종합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며, 삼성SDI의 '삼성 배터리 박스'(SBB), SK온의 어드밴스드 SF 배터리 등이 부문별 최고 혁신상을 받는다.

 

이외에도 행사 기간 글로벌 배터리 전문가가 연사로 참여하는 '더 배터리 콘퍼런스'와 전기차(EV) 산업 전시회인 'EV 트렌드 코리아', 배터리 잡페어, 한·유럽연합(EU) 연구개발(R&D) 라운드 테이블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준비돼 있다.

 

개막식에 참가한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최근 글로벌 기술 시장의 주요 트렌드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의 본격화 ▲LFP 등 보급형 기술의 확대 ▲친환경 기술의 강화 ▲원통형 배터리 등 표준 및 자동화 기술의 확산을 제시하고, 글로벌 흐름에 맞는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강 차관은 “관계 부처와 협의해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LFP‧나트륨 등 보급형 배터리 개발, 재사용·재활용 등 친환경 기술 개발 등을 위해 향후 5년간 총 5000억 원 이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