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거리에 공유자전거가 우후죽순 늘어나는데, 인천의 자전거길은 아직 답답하다.
22일 찾은 인천 남동구 예술회관역 인근 횡단보도 앞에는 임무를 마친 공유자전거 두 대가 아무렇게나 세워져 있다. 보도블록 위가 공유자전거로 가득 찬 건 이제는 흔한 풍경이다.
반면 자전거도로는 뚝뚝 끊긴 채다. 자전거도로를 따라 달리더라도 자연스럽게 인도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수많은 발길에 밟힌 자전거 마크도 흐릿할 뿐이다.
남동구에 사는 A씨(37)는 “원도심은 자전거를 타기 너무 위험하다. 길이 좁아 차도로 가다가 차에 치일뻔한 경험이 있다”며 “최근 공유자전거도 많아졌는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자전거도로가 안정적으로 이어지거나 이에 대한 대책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의 ‘2023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보면 지난해 인천에서 발생한 자전거 사고는 136건으로 전년보다 14.3% 늘었다.
자전거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기반시설이 받쳐줘야 하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인천의 도로 사정은 여의찮다.
인천 자전거도로의 노선 수는 1144개인데, 총연장은 1078.38㎞다. 도로 구간이 짧게 짧게 만들어졌다는 얘기다.
게다가 원도심과 신도시의 격차도 큰 상황이다.
인천에서 자전거도로가 가장 긴 건 295.88㎞인 서구다. 이어 중구(204.66㎞), 연수구(182.70㎞) 순이다. 이들은 청라·영종·송도 등 신도시를 가진 자치구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미 도로가 만들어진 원도심에 자전거도로가 들어서는 건 쉽지 않다. 동구와 미추홀구의 자전거도로는 각각 9.69㎞, 31.67㎞에 그친다.
원도심의 자전거 이용은 막막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공유자전거가 길거리를 나돌고 있다. 도로를 확보하지 못한 만큼 자전거 사고의 위험성이 더 커질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시의 지갑 사정은 자전거도로 신설은커녕 정비에도 벅차다. 올해 강화군·연수구·남동구·부평구·서구 등 5곳의 자전거도로 정비에 시비 9억 원을 보조했다.
시 관계자는 “자전거도로를 만들면서 도로를 개설한 곳은 연장을 길게 할 수 있는데 기존에 있는 도로에 설치하면서 짧게 조성한 게 많은 거 같다”며 “차도와 보도도 고려하기 때문에 기존 자전거도로 폭을 넓히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