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경찰 일부가 소총으로 무장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3일 밤 11시 48분쯤부터 비상계엄 선포와 함께 선관위로 출동한 경찰 일부가 K-1 소총을 소지했다.
이들은 과천경찰서 소속으로 당시 초동대응팀 4명을 선두로 서장을 비롯해 기동대까지 모두 110여 명이 현장 투입 배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총을 소지한 이들은 초동대응팀으로 실탄을 장착하진 않았지만 따로 실탄이 든 탄통을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 외에 경기남부지역 또 다른 선관위 시설인 수원 선거연수원에도 경찰이 배치됐지만 소총을 챙기지는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수원서부경찰서는 같은 날 오후 11시 25분쯤 서장 등 10여 명의 경찰관을 시작으로 총 43명을 수원 선거연수원에 투입했고 2기동대 60여 명이 추가로 도착하며 모두 100여 명이 배치됐다.
앞서 조치호 경찰청장은 계엄 선포 후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우리가 선관위 쪽에 갈 예정"이라는 전화를 받고 선관위에 경찰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조 청장은 같은 날 오후 10시 41분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에게 전화해 "우발 사태를 대비하는 게 맞겠다"고 지시했다.
이에 김 청장은 도경 경비과장에게 관내 선관위 시설인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와 수원 선거연수원 등 2곳에 대한 안전조치 및 우발대비를 지시했다.
도경 경비과장은 관할 경찰서에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우발상황에 대비하라는 지시사항을 전달했다. 이 과정에서 특정 무기류나 장구류를 준비하라는 지시는 하지 않았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경찰 관계자는 "과천경찰서장은 계엄이 선포된 만큼 대테러 상황에 준해 대응하라고 지시했던 것"이라며 "과천서 경찰관 일부가 K-1 소총을 소지하고 현장에 출동했다는 사실은 도경에서도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경찰관들은 방패와 무전기 등 기본 장비만 챙긴 상태였다"며 "과천 중앙선관위 청사에는 선관위 시설과장 등 2명이 출입한 것 이외에 특이사항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