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의전당이 '평보 서희환: 보통의 걸음'을 10월 12일까지 서울서예박물관에서 개최한다.
서거 30주년을 맞아 처음 열리는 대규모 회고전으로 한글 서예의 대가 평보 서희환의 초기작부터 말년의 작업까지 120여 점과 다양한 아카이브 자료를 소개한다.

평보 서희환(1934~1995)은 20세기 한국 서예계를 대표하는 한글 서예가다. 1968년 제17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국문전서라는 독창적 서체로 쓴 '애국시'로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주류였던 한문 서단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평생 한글만을 파고들며 독자적 예술세계를 완성했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평생 작업을 따라가며 그의 예술적 사유와 여정을 조명한다. 특히 30여 년간 작품을 수집해 온 고창진 씨의 개인 컬렉션이 큰 비중을 차지해, 수집과 예술의 관계를 함께 살필 기회를 제공한다.
대표작으로는 1980년 약 1만 자를 써 내려간 대작 '월인천강지곡'과 국립묘지, 임진각, 독립기념관 등지에 남긴 비문과 현판 원본 등이 소개된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대왕이 직접 지었으며 최초로 한글 활자로 인쇄한 것으로 알려진 '월인천강지곡'의 내용을 1980년 좌우 5.5m에 달하는 병풍에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서희환이 남긴 작품 중에서도 걸작으로 손꼽히며 표현된 글씨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평보 한글 서체의 정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시는 총 6부로 구성된다.
먼저 '봄이 오는 소리'에서는 작가의 초기작을 만날 수 있다. '뿌리 깊은 나무는'에서는 한글 고전에 대해 탐구하고, '서화동원'에서는 서예와 문인화를 감상할 수 있다. 또 '꽃씨 뿌리는 마음'에서는 자유롭고 기품 있는 평보체의 매력과 '푸른 동해 하얀 민족'에서는 공공기념물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이 작가를 존재시킨다'에서는 작가의 예술적 정수를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예술의전당과 여러 기관 소장품, 그리고 수집가 고창진 씨가 30여 년간 수집한 방대한 평보 서희환의 작품들을 함께 선보여, 예술과 수집의 관계를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전시 기간 어린이를 위한 '꽃씨서당', 성인 대상 '보통의 하루, 특별한 여백' 등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도슨트 해설은 1일 3회 상시 운영된다.
자세한 정보는 예술의전당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