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반도체·승용차 ‘선방’에도…7월 수출 2.2% 감소

美 고관세 여파 본격화…석유·철강 줄줄이 부진

 

7월 들어 2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줄었다. 반도체와 승용차 수출이 선전했지만, 미국의 고관세 충격이 본격화하면서 석유제품과 철강 등 주요 수출 품목들이 줄줄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관세청은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액이 360억 7000만 달러(약 50조 2000억 원·통관 기준 잠정치)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한 수치다.

 

한국 수출은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지만, 올해 들어 뚜렷한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이달 10일까지는 수출이 9.5% 증가세를 보였으나, 이후 급격히 꺾이며 20일까지는 오히려 감소세로 전환됐다.

 

수출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이다. 미국은 지난 4월을 기점으로 일부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 중 하나인 철강에는 50%, 자동차에는 25%라는 고율 관세가 적용 중이다.

 

7월 들어 석유제품(-17.5%), 철강(-9.7%), 차부품(-8.4%), 휴대폰(-16.8%) 등 대부분의 수출 품목이 줄줄이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 시장을 잃은 중국산 제품들의 저가 공세가 한국 수출을 압박하면서 피해가 더해졌다.

 

이에 따라 대미(對美) 수출은 64억 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 줄었고, 대중국 수출도 68억 8000만 달러로 5.9% 감소했다. 양대 수출국에 대한 실적이 나란히 감소한 것이다.

 

다만 반도체와 승용차 수출이 전체 감소 폭을 일정 부분 상쇄하는 역할을 했다. 반도체 수출은 같은 기간 78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5% 증가했다. 반도체는 아직 미국 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있고, 글로벌 수요 확대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21.9%까지 치솟았다.

 

승용차 수출도 3.9% 증가한 36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시장에서의 부진을 유럽과 동남아 등지에서의 친환경차 판매로 만회하며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수입은 전년 대비 4.3% 줄어든 356억 달러를 기록하며, 무역수지는 4억 7000만 달러 흑자를 유지했다.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세를 보이는 점도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했다.

 

하지만 수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은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높일 예정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의약품 등 현재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 품목에 대해서도 추가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이 전체 수출을 떠받치고 있지만, 승용차 등 여타 품목에 대한 관세 충격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