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19.3℃
  • 구름조금서울 16.3℃
  • 맑음대전 16.6℃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7.2℃
  • 연무광주 17.3℃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6.2℃
  • 맑음제주 19.3℃
  • 구름조금강화 14.8℃
  • 맑음보은 15.4℃
  • 구름조금금산 16.3℃
  • 맑음강진군 18.3℃
  • 맑음경주시 17.2℃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2026 수능 국어, 교과서·EBS 기반 출제…"시험 준비 부담 경감"

"교육과정 제시 목표·과정 기반…다양한 지문 활용"
독서 17·문학 17·화법과작문 11·언어와매체 11문항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이 교과서와 EBS 수능 교재를 중심으로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출제본부는 13일 ‘1교시 국어 영역 출제 방향’ 보도자료를 통해 “대학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핵심 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표를 뒀다”며 이같이 밝혔다.

 

출제본부는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기반해 문항을 구성함으로써 학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하고자 했다”며 “EBS 연계 출제를 병행해 학생들의 부담을 낮추는 방향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독서·문학·화법과 작문·언어와 매체 등 각 과목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에 맞춰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폭넓은 국어 능력을 평가했다”고 덧붙였다.


◇ 독서

공통과목인 독서 영역은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올해는 ▲독해 능력에 대한 관점을 설명하는 독서 이론 지문(1~3번) △법 해석 방법과 보증 계약을 다룬 사회 지문(4~9번) ▲열팽창과 액추에이터 작동 원리를 제시한 과학·기술 지문(10~13번) ▲인격 동일성 개념을 설명한 인문 지문(14~17번)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균형 있게 배치했다.


전문적 개념이 등장했지만 실제 사례와 자료를 함께 제시해 이해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 문학

 

공통과목인 문학 영역에서도 총 17개 문항이 출제됐다. 출제본부는 갈래 간 균형과 복합 지문 구성을 유지하며 문학 감상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문항은 ▲작자 미상 ‘수궁가’를 활용한 고전소설(18~21번) ▲이시영 ‘그리움’, 고재종 ‘감나무 그늘 아래’, 이이 ‘최립에게 주는 글’을 엮은 현대시·고전수필 복합 지문(22~26번) ▲박태순 ‘독가촌 풍경’을 제재로 한 현대소설(27~30번) ▲구강 ‘북새곡’과 사설시조 두 편을 활용한 고전시가(31~34번) 등으로 구성됐다.


◇ 화법과 작문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에서는 총 11개 문항이 출제됐다. 실생활·미디어 기반 상황이 대거 등장해 맥락 이해와 논리적 표현 능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화법 영역에는 ▲풍혈지를 주제로 한 발표 상황(35~37번) ▲웹툰 영상화 유행을 두고 이뤄지는 방송 대담과 학생 대화(38~39번) 등이 포함됐다.


작문 영역에서는 ▲웹툰 영상화에 대한 비평문 작성(40~42번)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성향을 설명하는 글(43~45번)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글 구조 이해 능력을 측정했다.

 

◇ 언어와 매체

 

언어와 매체 영역 역시 11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언어 영역에서는 ▲문자와 소리의 관계(35~36번) ▲문장 성분 이해(37번) ▲담화 구조 이해(38번) ▲의존 형태소(39번) ▲매체별 언어 사용의 특성(43번) 등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출제됐다.

 

매체 영역에서는 실제 생활 문서가 다수 활용됐다. ▲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 안내 메시지와 이용 후기 블로그 글을 엮은 문항(40~43번), ▲온라인 화상회의 내용과 이를 기반으로 제작한 학교 온라인 소식지를 활용한 문항(44~45번) 등이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