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이 소비자들의 쇼핑장소와 습관까지도 변화시키고 있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서울·경기지역 500여 가구를 대상으로 ‘불황기 소매업태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세대의 31.0%가 ‘경기침체로 주요 쇼핑장소를 바꿨다’고 답했다. 이 중 32.9%는 ‘백화점에서 대형마트’, 31.6%는 ‘대형마트에서 슈퍼마켓’으로 변경했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터넷 쇼핑몰’로 바꿨다는 응답도 16.8%에 달했다. 이는 불황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로 소비자들이 가격이 조금이라도 낮은 대형마트, 근거리 소량구매가 가능한 동네 슈퍼마켓, 공산품 가격비교가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을 선호하는 등 저가구매 경향 때문이다. 실제 전체 가구 중 절반이 넘는 58.9%는 ‘백화점을 찾는 횟수가 한 달에 한 번도 안된다’고 응답했으며 대형마트는 한 달에 ‘1회이상~3회미만’ 이용한다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다. 월평균 가계소득별로는 월 500만원을 넘는 가계의 40.4%가 ‘백화점’에서 가장 많은 지출을 했으며 월 100만원 이하 가구 25.0%는 ‘전통시장’에서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가격보다 품질이 우선시 되는 품목으로 소비자들은 채소, 생선, 정육
최근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등록기준에 미달된 국내 건설업체 중 30% 가량이 자본금 부족 이유로 부적격업체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해양부가 대한건설협회 등 4개 협회에 위탁해 국내 건설업체 5만5천820개사를 대상으로 서류 및 방문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8천90개사가 등록기준에 미달하거나 소재불명, 폐업 등으로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페이퍼컴퍼니 등 부적격 업체로 집계됐다. 종합건설업체의 경우 1만2천842개 업체 중 2천759개(21.5%), 전문건설업체는 4만2천978개사 중 5천331개사(12.4%)가 등록기준에 미달됐다. 특히 등록기준별 위반유형으로 살펴보면, 자본금 미달 등을 이유로 적발된 업체가 전체 중 30%인 2천478개사(자본금 미달 2026개, 자본금·기술능력 중복미달 452개)로 나타났다. 이어 기술능력 미달 1천327개(16.4%), 등록기준 자료 미제출 등 기타 위반업체가 4천285개(53.0%)로 밝혀졌다. 국토부는 이같이 부적격 업체가 늘어난 것에 대해 공사수주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페이퍼컴퍼니 등을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건설경기 침체로 수주물량 감소 등 부실 업체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택지로 지정된 면적이 1995년 이후 최저를 기록, 향후 주택을 지을 땅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에서 택지로 지정된 면적은 여의도 면적(848만㎡)의 4분의 1에도 못미치는 197만4천㎡에 그쳤다. 이는 1995년 167만9천㎡를 지정한 이후 최저 면적으로 참여정부 5년동안 연평균 3천243만7천㎡가 지정됐던 것과 비교해 고작 6% 수준이다. 또 지난해 전국에서 지정된 택지의 면적도 1천8만5천㎡에 그쳐 1999년(964만㎡)이후 가장 적었다. 신규 택지 지정이 부족한 것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주택시장의 불안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택지가 많이 지정돼 있으면 주택 수요를 봐 가면서 공급을 조절할 수 있지만 택지가 부족할 경우 수요의 급변에 대처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참여정부에서는 대규모 신도시를 통해 주택공급확대를 꾀해 왔던 데 비해 새 정부는 도심에서 주택을 공급하는 게 효과적인 집값대책이라고 보고 재건축·재개발 등의 활성화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아직 주택보급률이 100%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다 재건축·재개발의 경우 실제로 늘어난 주택의 수는 한계가 있기 때
삼성자동차가 수출 호조를 바탕으로 출범 이래 최대 판매 실적을 달성했다. 31일 르노삼성자동차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자동차는 전년대비 14.4% 증가한 19만7천24대를 판매했으며 이 중 수출은 전년대비 73% 증가한 9만543대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삼성자동차는 지난해 3조7천억원의 매출액과 1300억원의 영업 이익을 달성해 2002년부터 기록한 흑자 행진을 7년 연속 이어갔다. 또 전문자동차 리서치 회사인 ‘마케팅 인사이트’에서 실시한 2008년 자동차 품질 기획 조사에서 7년 연속 자동차 종합 만족도 부분 1위도 차지했다. 르노삼성자동차 전사커뮤니케이션 서규억 팀장은 “자동차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판매 실적을 바탕으로 올해도 내수 목표 10만대 달성과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판매 네트워크를 통한 수출을 극대화해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수익성 있는 성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르노삼성차는 4월 열리는 서울모터쇼에서 New SM3를 선보일 예정이다.
경기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소상공인들의 경영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3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소상공인 50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상공인 경영실태 및 애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소상공인의 84.8%가 최근 경영여건을 ‘예년보다 어렵다’고 답했다. 소상공인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은 ‘매출감소’가 6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원자재가 상승’12.2%, ‘자금난 심화’ 11.8% 등의 순이었다. 소상공인들의 경영애로는 매출액, 영업이익, 상시종사자수를 통해 더욱 확실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업체당 평균 연매출액은 6억5천120만원으로 전년 7억1천80만원 보다 8.4% 줄었고 평균 영업이익도 8천710만원으로 전년(9천790만원) 대비 11.0% 감소했다. 평균 상시종사자수도 2007년 3.7명에서 지난해 3.5명으로 줄었다. 또 조사대상 소상공인들의 77.2%가 자금사정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자금사정의 어려움은 주로 ‘판매부진’(66.3%)과 ‘판매대금 회수지연(12.4%)’, ‘신규대출 어려움(7.5%)’ 등에 기인했다. 소상공인 2명 중 1명(55.8%)은 불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용절감’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지만 대
경기침체와 유동성 자금부족 등으로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연이어 갱신했던 도내 제조업 체감경기가 6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31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691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09년 3월 경기지역 기업경기 및 자금사정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의 3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55로 전월 40보다 15p 급등했다. 이는 지난해 9월 65를 기록한 후 글로벌 금융위기가 가시화됐던 10월 54로 급감, 올 2월(40)까지 하락세를 유지하다 6개월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다. 수출기업의 경우 전월 44에서 무려 26p 급증한 70을 나타냈으며 내수기업도 47로 전월 대비 8p 상승,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도 모두 전월보다 각각 18p, 14p 상승한 65, 52를 기록, 체감경기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 도내 제조업 체감경기 회복은 매출과 생산, 자금사정 등을 통해 더욱 확실하게 나타났다. 3월 경기지역 제조업체의 매출, 생산BSI는 전월보다 각각 15p, 10p 상승한 69, 68을 보였으며 자금사정BSI도 시중 유동성 증가 및 정책 자금지원 등으로 전월대비 7p 상승한 86으로 조사됐다. 비제조업 업황BSI도 건설업(+
지난달 은행권의 저축성수신 평균 금리가 1%포인트 가까이 떨어진 연 3.23%로,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신규 대출금리는 0.3%포인트가량 하락하는데 그쳤다. 30일 한국은행의 ‘2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이 새로 취급한 저축성수신 평균 금리는 1월보다 0.93%포인트 하락한 연 3.23%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6년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3.24%로 전달보다 1.02%포인트 떨어졌고 양도성예금증서(CD), 금융채 등 시장형금리 상품의 발행 금리도 3.91%에서 3.21%로 0.70%포인트 하락했다. 예금금리가 급락한 것은 지난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추가로 내린 데 맞춰 은행들이 수신 금리를 인하한데다 금리를 적게 주는 1년 미만의 단기성 정기예금의 비중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2.0∼3.0% 미만의 이자를 주는 정기예금의 비중이 1월 9.2%에서 2월 37.6%로 상승했다. 반면 5.0% 이상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정기예금 비중은 18.4%에서 1%로 줄어 은행권에서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예금은행이 새로 취급한 대출 평균 금리는 연 5
최근 대기업 취업문이 좁아지면서 알짜 중소기업 취업에 도전하려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 정보를 얻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구직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남녀 구직자 812명을 대상으로 ‘중기 취업 애로사항’에 대해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 입사지원시 애로점으로 응답자의 61.8%가 ‘기업의 고용안정성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렵다’고 답했다. ‘희망연봉수준 결정 어려움’이라는 응답도 55.8%로 높았으며, 이어 ‘지원하는 분야의 업무범위와 특성 파악’(40.9%), ‘기업문화나 분위기 파악’(34.0%), ‘기업의 재무정보 파악’(29.9%), ‘기업의 주요 사업분야에 대한 정보 파악’(26.8%) 등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구직자들은 기업의 주요 사업분야, 재무구조, 고용안정성 등 기업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기업의 홈페이지(61.3%)와 취업포털(60.0%)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답했다. 이 밖에 중소기업청 등 중소기업 관련 사이트를 통해 알아본다는 구직자가 19.3%였으며 학교 취업정보실(12.4%), 기타 언론사 기사 등을 통해 기업정보를 모은다는 응답도 9.6%로 집계됐다. 구직
최근 경기침체와 고환율의 영향으로 가족단위 나들이 위주의 국내 관광 여행이 늘어나면서 편의점업체 매출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30일 편의점업체 보광훼미리마트가 지난 주말 28일부터 29일까지 등산로와 꽃축제, 공원, 놀이동산, KTX역사 등 행락지 주변에 위치한 훼미리마트 70여 점포의 매출을 조사한 결과, 전월 동기보다 1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등산로 인근 점포가 27.9%, 꽃 축제 인근 점포 27.0%, 공원, 놀이동산 인근 점포 25.9%, KTX역사점포 20.8% 각각 매출이 증가했다.
최근 20대 젊은이들을 사로잡는 룸 테마 호텔식 퓨전 주점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부분 퓨전 주점이 불황기를 맞아 매출 부진을 겪고 있지만 룸 테마 퓨전주점의 경우 새로운 블루오션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 특히 룸 테마 퓨전주점 ‘꾼노리’ 매장은 월 1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2명에서 20~30명 규모의 팀이 독립적인 공간에서 음주를 즐길 수 있도록 돼 있어 젊은이들에게 사랑받다 보니 주로 대학가 주변에 입점해 있다. 또 꾼노리 매장은 아기자기한 인테리어로 여성 고객에게 선호되는 주점으로 꼽힌다. 이곳을 찾는 여성 고객의 비율은 매장마다 평균 60% 이상에 달한다. 입소문을 타거나 여자친구의 손에 이끌려 이곳을 찾는 남성의 숫자도 점점 늘고 있다. 이곳에서 내놓는 70가지의 안주도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젊은 층에 어필하고 있다. 본사에서는 철저하게 메뉴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신메뉴를 내놓고 있다. 다양하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메뉴를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정확하고 엄격한 조리 매뉴얼 교육도 실시된다. 특히 가맹계약 후에는 본사 조리아카데미 및 직영점에서 조리교육을 받은 주방 인력을 지원해 가맹점이 주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