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노동과 업무 스트레스로 과로사하는 노동자가 매년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과로사한 인원 10명 중 4명만이 과로사로 산업재해 승인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종성 의원(더민주·광주을)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2986명이 뇌심혈관질병 사망(과로사)으로 산업재해 신청을 했고, 이 중 1113명 만이 산업재해를 인정받았다. 연도별 과로사 신청의 경우, 2017년 576건, 2018년 612건, 2019년 747건, 2020년 8월 기준 474건으로 매년 늘고 있는 추세이나 산업재해 승인율은 크게 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근로복지공단이 과로사 판단기준을 개선해 2017년 35.6%에서 2018년 43.5%, 2019년 39.1%로 다소 높아졌다. 여전히 절반 이상이 산업재해 인정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5년간 근로복지공단의 과로사 산업재해 불승인으로 행정소송을 진행한 503건 중 110건이 법원에서 산업재해 인정을 받았다. 근로복지공단에서 인정하지 않은 과로사를 법원에서는 업무상 재해로 인정한 건수가 5건 중 1건이라는 것이다. 임 의원은 “근로복지공단
군 내에서 상관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 기강 해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용인시을)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 대상관 범죄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6월까지 육‧해‧공군 및 국방부 검찰단에서 처리한 상관 대상 범죄는 총 944건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6년 118건, 2017년 226건, 2018년 229건, 2019년 242건, 2020년(상반기) 129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6월까지 발생한 건수를 감안할 때 올해 역시 전년 기록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군별로는 육군 789건, 해군 92건, 공군 54건 발생했다. 특히 육군은 2016년 93건에서 2017년 184건으로 2배 가량 급증한 이후 2018년 201건, 2019 200건, 2020년 111건을 기록하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범죄유형별로는 전체 944건 중 모욕사건이 748건 발생해, 79.2%의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폭행‧협박 121건, 상해 40건, 명예훼손 35건 등이 뒤를 이었다. 김민기 의원은 “상명하복의 위계질서가 확립되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별세 소식에 정치권은 일제히 애도를 표했다. 여야는 이 회장의 업적을 평가하면서도 고인에 삶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등 범야권은 이건희 회장이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 시킨 업적에 초점을 맞춘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범여권은 삼성의 지배 구조 및 정경유착, 무노조 경영 등의 문제를 지적하며 재벌개혁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 회장은 삼성의 글로벌 도약을 이끌며 한국 경제 성장의 주춧돌을 놓은 주역이었다"고 애도를 표하면서도 "한국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인으로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그의 인생은 파란만장했던 영욕의 삶이었다. 그의 말대로 삼성은 초일류 기업을 표방했지만, 이를 위한 과정은 때때로 초법적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영권 세습을 위한 일감 몰아주기와 부당 내부거래, 정경유착과 무노조 경영 등 그가 남긴 부정적 유산들은 우리 사회가 청산해야 할 시대적 과제"라며 "이 회장의 타계를 계기로,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대국민 사과에서 국민들께 약속했던 '새로운 삼성'이 조속히 실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이 회장이 정경유착과 무노조 경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과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법무부 종합국감에서 추미애 장관이 윤 총장을 겨냥해 강경 발언을 쏟아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5일 정치권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추 장관 취임 뒤 이어진 이른바 검찰 '학살 인사'와 윤 총장 수사지휘권을 박탈하는 추 장관의 잇단 수사지휘권 행사, 윤 총장의 '부하' 발언을 둘러싼 신경전까지 두 사람 간 갈등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2일 대검찰청 국감에서 윤석열 총장이 추미애 장관을 항해 “검찰 총장은 법무장관 부하가 아니다”고 직격탄을 날 린 것에 대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6일 법무부 국감에서 윤 총장을 겨냥해 반격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26일 법무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를 진행한다. 추미애 법무부장관도 이날 국감에 출석한다. 윤 총장의 작심발언이 파장을 일으켰던 만큼 추 장관에게 여야 의원들의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윤 총장은 대검찰청 국감에서 추 장관이 라임 자산운용 사건 등에 대해 수사지휘권을 발동한데 대해 부당하고 위법하다며 검찰총장은 법무부 장관의 부하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추 장관은 개인 SNS를 통해 “검찰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중 대다수가 비효율적으로 운영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광명갑)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아 25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문체부를 포함해 총 45개 기관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62개로 총 71억 가량의 채널 제작 및 홍보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중 15개 채널은 구독자가 1000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례로 5900여만원의 제작·홍보비가 투입된 한국관광공사의 '근로자휴가지원사업' 계정은 현재 구독자 수가 749명이다. 임 의원은 조회 수 1건당 비용을 산출하는 방식으로도 비효율성의 문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가장 효율이 낮은 채널은 국민체육공단의 ‘국민체력100’이었다. 이 채널은 5400만원을 투입해 조회 수 1만6000여건을 기록했다. 건당 비용이 3446원에 달하는 셈이다. 최근 한국관광공사의 ‘이매진 유어 코리아’ 계정에서 총 2억원을 투입해 제작한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 영상이 조회 수 8200만건을 기록한 상황과 대조된다. 이들 영상의 건당 비용은 2.5원으로, 국민체력100과는 1000배 차이가 나는 결과라
전국 18개 지방경찰청 중 13개 지방경찰청에서 여경 경찰서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기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광명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지방청별 여경 경찰서장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여경 경찰서장은 단 9명 뿐이다. 지방청별로는 △서울청에 1명 △경기남부청에 4명 △경기북부청에 1명 △충남청에 2명 △전북청에 1명 등에만 여경 경찰서장이 있다. 전체 총경 이상 경찰관 712명 중 여성 총경은 23명으로 3.2% 수준에 그쳤다. 경찰서장뿐 아니라 총경 이상 여경이 단 한명도 없는 지방청은 9곳에 달했다. 지방청별 총경 이상 여경을 살펴보면 △본청 3명 △서울청 4명 △인천청 3명 △광주청 1명 △경기남부청 5명 △경기북부청 1명 △강원청 1명 △충남청 2명 △전북청 1명 △제주청 1명 △부속기관 1명 등이었다. 경정 이상 경찰관 중 여성비율은 5.2%(3531명 중 182명), 경감으로 범위를 넓히면 6.2%로 다소 늘어났다. 반면 가장 하위직급인 순경은 1만4999명 중 3183명으로 21.2%, 경장은 20.2%, 경사는 19.1%의 비중을 보였다. 양 의원은 “하위직급에 비해 고위직 여성 경찰관
지난해 10개 국립대학병원에서 거둬들인 부대사업 수익이 701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용인정)이 10개 국립대학병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개 국립대학병원이 주차장, 장례식장, 임대사업으로 거둬들인 수익은 총 701억 23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에 비해 13.6%(83억 9500만원) 증가한 수치이다. 부대사업 수익은 서울대병원가 28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충남대병원 123억원, 전북대병원 74억원, 강원대병원 68억원 순이었다. 이 같은 부대사업 수익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국립대병원이 10곳 중 4곳은 당기순이익이 적자였다. 작년 당기순이익 손실액은 경상대병원 265억원, 제주대병원 79억원, 강원대병원 48억원, 충남대병원 4억원에 달했다. 최근 10개 국립대병원의 당기순이익은 매년 좋아지고 있으며 2018년 이후 흑자로 전환했다. 의료법상 의료기관은 의료업무 외에 주차장, 장례식장, 노인의료복지시설, 보수교육 등 부대사업을 할 수 있다. 이탄희 의원은 “의료기관의 부대사업은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와 가족, 의료기관 종사자, 그 밖에 의료기관 이용자의 호
불안한 노후로 인해 50대 이상 중노년층의 스포츠토토 이용률이 39%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오경 더불어민주당(광명갑)의원이 23일 공개한 스포츠토토 구매회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용자는 총 66만 974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48만 1937명)과 비교하면 2년 새 약39%가 증가했으며, 연령대별로 보면 중노년층 이용률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61세 이상이 2017년 3970명에서 2019년 9215명으로 132%, 51~60세가 2017년 1만6066명에서 2019년 3만5216명으로 119% 증가했다. 이 기간 20~30세 사이 청년층도 7만395명에서 14만4664명으로 늘어 10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스포츠토토 구매총액은 1조 7086억여원에 달한다. 연평균 5600억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된 셈이다. 임오경 의원은 “소득이 불안정한 사회초년생과 노후대비가 필요한 장년층에서의 스포츠토토 구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극단적인 한탕주의로 빠지는 것을 경계해야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
전국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사건이 3년 새 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대 중에서는 서울대가 5년간 170건으로 가장 많았다. 22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찬민 국민의힘 의원(용인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고접수 건은 매해 늘어나 5년간 1206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346건이 발생해 3년 전인 2016년 182건보다 약 두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성폭력 사건 총 1206건 중 510건은 국립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대 중에서도 서울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서울대에서는 최근 5년간 170건이 발생해 전체 건수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어 부산대 42건, 경북대 30건 순이었다. 구체적 유형으로는 언어적·신체적 성추행·성폭행을 비롯해 △데이트 폭력 △스토킹 △몰래카메라 설치로 인한 불법촬영 등이 있었다. 발생 장소로는 △술집 △연구실 △강의실 △동아리방 △자취방 △통학버스 등으로 다양했다. 한편 성희롱·성폭력 가해자의 대다수는 학생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발생한 1206건의 사건 중 가해자가 학생인 경우는 748건으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최근 3년 새 항공편을 이용해 국내에 마약을 들여오다 적발된 건수가 4.5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송석준(국민의힘·이천)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올해 9월까지 항공편을 통한 마약 유입 적발 건수는 총 889건에 달했다. 적발된 마약의 중량은 36만4314g으로 약6239억원어치에 달했으며 대부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들여오다 적발됐다. 연도별로는 2016년 76건(615억원), 2017년 86건(163억원), 2018년 73건 (1833억원), 2019년 344건 (3222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20년 9월 말까지는 310건 406억원으로 집계됐다. 마약 종류별로는 대마가 18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필로폰(11건), 일명 '엑스터시'로 불리는 MDMA와 코카인(각 3건), 기타(111건) 등이었다. 특히 대마 적발 건수는 2016년 11건(138g), 2017년 7건(4천51g), 2018년 17건(2만5천577g), 2019년 152건(3만7천397g) 등으로 지난해에 눈에 띄게 급증했다. 대마 유입 적발 건수가 급증한 것은 북미 지역의 기호용 대마 합법화로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