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에도 50억 달러가 넘는 무역흑자가 발생하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드는 ‘불황형 무역흑자’가 4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5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작년 동기대비 28.3% 줄어든 282억2천500만 달러, 수입은 40.4% 감소한 230억7천500만 달러를 기록, 51억5천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5월 수출입 감소율이 크게 나타난 데는 지난해 5월 수출과 수입이 나란히 29.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수치상 감소폭이 크게 보이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품목별로는 그간 수출을 지탱해오던 선박이 지난해 5월 수출(48억 달러)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달에는 40억 달러선으로 줄어들었다. 무선통신기기(-13%), 반도체(-24%), 철강(-34%) 등도 모두 큰 폭으로 수출이 줄었고 특히 자동차와 석유제품의 수출감소폭은 각각 53%, 63%로 늘어났다. 그러나 평판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액정 디바이스 제품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늘어 주요 품목 중 유일하게 증가했다. 40%를 넘은 수입 감소세
지난달 도내 소비자 물가가 햇작물 출하 등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하락과 LPG 가격 등이 안정화되면서 4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1일 경인지방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경기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도 소비자 물가지수는 113.2로 전월대비 0.1%하락했다. 도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2월(111.1) 이후 매월 상승세를 이어오다 지난달 들어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는 양상추, 참외 등 농산물 가격이 산지출하가 늘어나면서 하락했고 신종플루에 영향으로 돼지고기 가격도 하락한 것이 전체적인 소비자 물가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최근 환율하락으로 인한 LPG, 경유 등 교통 부문의 가격이 크게 하락한 점도 크게 기인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농축수산물은 양상추(-31.6%), 참외(-22.3%), 호박(-17.0%), 돼지고기(-6.2%), 꽁치(-6.8%) 등이 전월대비 하락했다. 반면 양배추(44.9%), 배추(24.1%), 생강(14.1%) 등은 상승해 전체적으로 지난달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1.2% 하락했다. 공업제품은 LPG 자동차용(-10.5%), 경유(0.9%), 휘발유(-0.4%), 금반지(-1.5%) 등이 전월대비 하락
지난해 12월 이후 증가세를 이어오던 월별 실업급여지급액이 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1일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43만5천명에게 실업급여 3천714억원을 지급해 전월 45만5천명 4천58억원에 비해 344억원(8.5%) 감소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지난해 12월 2천487억원을 기록한 이후 매달 최고치를 갱신하며 급등세를 이어왔지만 지난달 들어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달 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7만9천명으로 전월 9만6천명에 비해 1만7천명이 감소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또한 근로자의 고용유지를 하는 경우에 지급하는 고용유지지원금도 지난달 377억원이 지원돼 전월(451억원)대비 16.5% 줄어 5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장의성 고용서비스정책관은 “올 1월 이후 매월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던 실업급여 지급액이 감소세로 전환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라며 “하지만 아직도 실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실업자들로 하여금 빨리 새 직장을 구할 수 있도록 취업지원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경영계가 최저임금의 5.8% 삭감을 제시한 데 대해 노동계가 28.7% 인상을 요구한 것과 관련, 경제단체들은 삭감이 현실을 충분히 반영한 것이라며 노동계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견해를 표명하고 나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1일 경영계와 노동계에 따르면 경영계는 지난달 29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내년에 적용될 시간급 최저임금으로 현재 적용되고 있는 4천원에서 5.8% 삭감한 3천770원을 제시했다. 또 민주노총, 한국노총,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한국여성단체연합, 민주노동당, 참여연대 등으로 구성된 노동계는 내년 최저임금으로 현행 4천원에 비해 28.8% 인상된 시급 5천150원을 제시했다. 노동계는 최저임금 인상은 경제위기의 올바른 극복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벼랑 끝에 몰린 저임금 노동자의 생존 보장을 위해 최저임금 인상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중기중앙회 등 경영계는 노동계의 이번 인상안은 무리한 요구라고 못박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고용조정보다 배치전환, 임금동결·반납·절감 등을 통해 일자리 유지에 애쓰고 있는 중소기업계를 부담을 가중시키는 처사라는 입장이다. 중기중앙회는 관계자는 “지난해 6월 결정된 최저임금(시급
눈길 끄는 인테리어 입맛 당기는 메뉴 2000년 초부터 시작된 퓨전요리주점은 현재 성숙기에 이르렀다. 다양한 요리와 주류를 중심으로 독특한 인테리어와 개성을 중시하는 고급화와 대형화가 이 업종의 최근 추세.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음식을 개발해 손님에게 내놓고 그에 어울리는 인테리어를 갖춘다. 2009년 현재는 일본풍, 중국풍, 전통풍 등이 가장 보편적인 컨셉이다. 전통풍 컨셉의 대표로는 퓨전요리주점 ‘더 궁’(www.thegung.com)이 있다. 이곳은 고급스럽고 세련된 궁궐 컨셉의 익스테리어로 새롭다는 인식을 주고 있다. 2007년 2월 안양1번가 직영점 오픈을 시작으로 별다른 홍보 없이 입소문 하나로 1년 동안 서울과 경기도 10대 상권 입점을 비롯해 전국 20개 가맹점을 오픈한 바 있다. 검은색 기와지붕의 아웃테리어로 한국의 전통미를 효과적으로 살려내 우리 정서에 잘 맞는다. 또한 밖으로 나있는 창문은 어두운 톤의 목조와 기와, 화려한 조명을 사용해 매장이 2층에 있어도 눈에 잘 띈다. 가맹본사인 ㈜PK그룹은 디자인 노하우를 오랫동안 쌓은 회사여서 인테리어 분야의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붉은 천과 목조를 사용해 매장 내부를 재구성했
최근 일부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에다 택시요금과 항공요금이 이달부터 오르고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예고되는 등 서민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31일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경기도 택시 기본요금이 오는 8월1일부터 2천400원으로 인상되고 서울과 인천지역의 택시기본요금(2㎞ 기준)이 다음달 1일부터 1천900원에서 2천400원으로 500원 오른다. 서울시의 경우 기본요금만 오르지만 인천택시는 100원씩 추가되는 요금 거리도 현행 159m에서 148m로 단축된다. 서울의 경우 요금인상률은 12.64%, 인천은 18.29%나 된다. 항공요금도 항공사가 승객들에게 공지하는 공시요금을 기준으로 6월1일부터 최고 15% 인상되는 등 전반적으로 오른다. 항공업계는 사상 초유의 고유가와 환율인상 등으로 그동안 요금인상이 불가피했으나 억눌러왔던 것이라며 이번 인상이 최소한의 조치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정부가 인상을 억제해온 전기·가스요금도 원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입장을 보임에 따라 6월 중에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전력은 최근 정부에 상반기, 하반기 각각 4.5%, 9%의 전기요금 인상을 요구했으며 심야전력 요금도 상반기에 7.5% 인상할 계획인
5월 중 삼성전자 휴대폰 판매량이 급증하며 국내 휴대폰 시장의 절반 이상을 점유했다. 또 LG전자는 월별 사상 최다인 총 79만대의 휴대전화를 판매해 국내 시장 점유율 30.3%를 차지했다. 31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5월 삼성전자 휴대폰 국내 내수 실적’에 따르면 5월 삼성전자 휴대폰의 국내시장 판매량은 130만대를 기록, 지난 4월(99만5천대)보다 30.6% 증가했다. 이로써 5월 삼성전자 휴대폰 판매량은 국내시장 휴대폰 판매량(258만대)의 절반 이상인 50.4%의 점유율을 달성, 지난 4월(99만 5천대) 시장 점유율이 50% 아래로 하락한 이후 다시 50%대로 회복했다. LG전자는 5월 국내에서 총 79만대의 휴대전화를 판매해 월별 기준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 5월 LG 제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30.3%를 차지하면서 3개월 연속 30%대 점유율을 이어갔다.
연매출 20조원대의 국내 최대 통신업체가 될 통합 KT가 오늘 공식 출범한다. 통합 KT는 유선통신 1위 사업자 KT와 이동통신 2위 사업자 KTF 간 합병에 따른 초대형 기업의 탄생이라는 의미 외에도 유·무선통신 시장의 대변혁을 초래하며 경쟁사들간 영역구분 없는 전면전이 예상된다. 이석채 KT 회장은 이날 분당 본사에서 통합 KT의 출범을 공식 선언하고 유·무선 융합에 기반을 둔 글로벌 ICT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밝힐 예정이다. 이 회장은 또 향후 KT그룹의 경영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키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이 회장이 취임 직후인 지난 1월17일 방송통신위원회에 합병인가 신청을 낸 지 5개월여 만에 합병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매듭지은 것이다. KT는 출범과 함께 홈부문, 기업부문, 개인부문 등 3개 사내독립기업(CIC.Company In Company) 대표를 사장으로 하는 책임경영체제를 출범시킨다. 이를 위해 주요 임원에 대한 인사도 모두 마무리했다. 이로써 통합 KT는 유·무선전화와 초고속인터넷, 와이브로, IPTV를 아우르면서 자산 24조1천293억원, 연매출 18조9천471억원, 영업이익 1조4천604억원의 기업으로 거
이달부터 자산관리공사(캠코)의 신용회복기금 ‘전환대출’ 금리가 종전 20%에서 12%로 인하되고 상환기간도 3년에서 5년으로 늘어난다. 또 전환대출 신청 대상자 범위도 연 30% 이상 고금리 대출자에서 연 20% 이상 대출자로 확대됐다. 31일 자산관리공사에 따르면 저신용자가 높은 금리로 대출받은 채무를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용회복기금 전환대출 요건을 완화해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전환대출은 신용등급이 7~10등급으로 낮은 저신용자가 금융기관이나 대부업체에서 고금리로 대출받은 채무를 은행의 낮은 금리로 전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캠코가 작년 12월19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번 전환대출 요건 완화로 전환대출의 금리는 종전 연 15.5~21%에서 연 9.5~13.5%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상환 기간도 최장 3년에서 5년으로 늘어났다. 이럴 경우 대부업체에서 연 49.2%로 1천만 원의 대출을 받아 전환대출로 갈아타게 되면 매달 이자가 41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줄어들고 이자와 원금을 합쳐 5년 간 매달 22만 원만 갚으면 된다. 또 지원 신청 대상자 범위도 확대됐다. 전환대출 신청 가능한 대출 금리 기준은 연 30% 이상에서 연 20% 이상
최근 도내 기업들이 경기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고조화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민간부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한시적 규제완화에 나서 도내 기업들의 본격적인 경기회복세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28일 중소기업 중앙회 경기본부가 도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6월 경기전망조사결과’에 따르면 다음달 중소기업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는 전월(90.6)대비 0.5p 상승한 91.1을 기록해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규모별로는 소기업(1.8p)과 중기업(1.9p) 모두 업황전망지수가 늘었고 공업구조별로도 경공업(3.3p)과 중화학공업(2.5p) 모두 상승했다. 이는 최근 중기제품 공공구매 확대, 노후차 교체시 세금감면으로 신차판매 증가 등 내수부양효과와 휴대폰, 가전, LCD 등 전자, 통신기기 관련 업종의 해외수요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같은 기업들의 경기회복전망이 상승하는 시점에서 정부의 기존 공장 증축, 부담금 완화 등 창업·투자에 대한 규제완화조치로 기업들의 본격적인 경기회복이 이루어 질 것으로 중기 중앙회는 전망했다. 우선 창업투자회사의 창업·벤처기업 신규발행 주식에 대한 투자의무비율이 50%에서 40%로 완화돼 자본금의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