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공격수 이승우가 쿠팡플레이 시리즈 1경기 토트넘 전에 나설 팀 K리그를 뽑는 ‘팬 일레븐’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토트넘과 팀 K리그의 쿠팡플레이 시리즈 1경기에 나설 ‘팬 일레븐’ 명단을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팬 일레븐’은 K리그1 12개 구단이 제출한 각 팀별 베스트11을 바탕으로 연맹 기술위원회(TSG)가 4배수 후보를 추린 뒤, 지난 5일부터 14일까지 K리그 공식 어플리케이션 ‘Kick’ 팬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공격수 3명, 미드필더 3명, 수비수 4명, 골키퍼 1명을 최종 선발했다. 11명의 선수 중 최다 득표자는 수원FC의 에이스 이승우였다. 이승우는 총 4만 8086표를 받아 전체 후보 44명 중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승우의 뒤를 이어 린가드(FC서울), 황재원, 세징야(이상 대구FC), 기성용(서울) 순으로 많은 표를 받았다. 공격수(FW) 부문에서는 최다 득표자 이승우와 함께 세징야(대구·3만7235표), 주민규(울산 현대·3만 1843표)가 선발됐고 미드필더(MF) 부문에서는 EPL 출신 슈퍼스타 린가드(4만 6792),
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이승우가 쿠팡플레이 시리즈 1경기 토트넘과 경기에 나설 팀 K리그 팬 투표에서 1위에 올랐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오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쿠팡플레이 시리즈 1경기 토트넘 홋스퍼와 경기에 나설 팀 K리그의 팬 일레븐 투표 중간집계 결과 이승우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팬 일레븐은 다득표 순으로 공격수 3명, 미드필더 3명, 수비수 4명, 골키퍼 1명을 선발한다. 투표 종료를 나흘 앞둔 이날 오전 8시를 기준으로 집계된 득표수에 따르면, 이승우가 총 2만 8639표로 1위를 달리고 있다. 공격수(FW) 부문은 1위 이승우, 2위 세징야(대구FC·2만 743표), 3위 주민규(울산 HD·1만 9014표) 등 3명이 실시간 팬 일레븐에 이름을 올렸고, 엄원상(울산)이 1만 3722표로 뒤를 이었다. 미드필더(MF) 부문에서는 FC서울의 린가드가 2만 7429표로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기성용(서울·1만 9931표), 이동경(김천 상무·1만 9003표), 정호연(광주FC·1만 3435표) 순이다. 또 수비수(DF) 부문은 황재원(대구·2만 6780표), 최준(서울·1만 9466표), 박진섭(전북·1만 874
경기도가 제18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서 총메달수 1위를 차지하며 10회 연속 최다 메달 획득을 눈 앞에 뒀다. 경기도는 16일 전남 일원에서 열린 대회 3일째 수영과 육상, 보치아, 플로어볼 등에서 메달이 쏟아지며 이날 오후 6시 현재 금 47개, 은 53개, 동메달 39개 등 총 139개의 메달로 충북(금 45·은 44·동 47)과 충남(금 36·은 35·동 41)을 따돌리고 총 메달 순위 선두로 나섰다. 경기도는 이날 플로어볼과 슐런, 디스크볼, 골볼 등 4개 종목이 끝난 가운데 플로어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전북과 경남을 제치고 종목우승을 차지했고 슐런에서는 금 2개, 은 2개, 동메달 3개 등 총 7개의 메달로 경남(금 6·은 2·동 2)과 전남(금 3·은 2·동 5)에 이어 종목 3위에 입상했다. 또 디스크골프에서는 은메달 1개로 종목 4위에 올랐고 골볼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이날 전남 광양시 광양성황스포츠센터 수영장에서 열린 수영에서는 김진헌(용인 포곡중)이 4관왕에 등극했다. 지난 15회 대회 3관왕, 16회 대회 4관왕에 이어 지난 해 5관왕을 차지했던 김진헌은 남중부 자유형 200m S14(지적) 결승에서 2분21초15로 김윤호(용인 정평중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1년 만에 다시 태극마크를 달았다. 최민정은 12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쇼트트랙 국가대표 2차 선발대회 겸 KB금융그룹 제39회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 마지막 날 여자부 1000m 결승에서 1분31초115로 심석희(서울시청·1분31초323)와 이유빈(고양시청·1분31초364)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날 1000m 예선 4조에서 1분32초890으로 1위에 오른 최민정은 준준결승에서도 1분32초044로 1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준결승 2조에서 1분30초844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준결승전에서 가장 좋은 기록으로 결승에 진출해 1번 레인을 배정 받은 최민정은 초반부터 1위와 2위 자리를 번갈아가며 레이스를 펼치다가 2바퀴를 남기고 심석희에게 선두를 내줬다. 그러나 최민정은 2위에서 기회를 노리다가 마지막 바퀴를 남기고 속도를 높였고 마지막 코너에서 아웃코스로 추월에 성공하며 1위로 골인했다. 1차 선발대회에서 500m와 1000m, 1500m 합계 52점을 따냈던 최민정은 2차 선발대회에서 500m와 1000m 우승에 힘입어 73점을 추
‘스마일 점퍼’ 우상혁(27·용인시청)이 3개월 만에 ‘세계랭킹 1위’를 되찾았다. 세계육상연맹(WA)은 8일 홈페이지에 각 종목별 세계랭킹을 업데이트하면서 남자 높이뛰기 세계 1위를 우상혁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7월 26일 세계랭킹 1위에 올랐던 우상혁은 올해 초 실내 시즌에 단 한 번만 출전한 탓에 평균 점수가 떨어져 3월 21일 세계랭킹 3위로 밀렸었다. 그러나 5월 6일 도하 다이아몬드리그 2위(2m27)에 이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전을 겸한 5월 9일 예천 KBS배 우승(2m32)과 5월 21일 요코하마 골든 그랑프리 우승(2m29), 로마·피렌체 다이아몬드리그 2위(2m30) 등으로 랭킹 포인트를 끌어올려 3개월여 만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세계육상연맹은 ‘기록 순위’와 ‘세계랭킹 포인트’, 두 가지 순위를 따로 집계한다. 우상혁은 2023년 기록 순위에서는 2m32로 시즌 최고 2m33을 넘은 주본 해리슨(미국), 조엘 바덴(호주)에 이은 공동 3위를 차지했지만 대회별 성적을 포인트로 환산한 ‘세계랭킹’ 부문에서는 1위를 되찾았다. 세계육상연맹은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등 메이저대회는 18개월, 다른 종목은 최근 12개월 경기 결과를
2022 프로야구 개막 이후 단 한 번도 선두 자리를 놓친 적 없는 SSG 랜더스가 이번 주 키움을 상대로 독주체제 굳히기에 나선다. 선두 SSG(63승 3무 28패·승률 0.692)는 2일 오후 6시30분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리는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2위 키움 히어로즈(57승 2무 36패·승률 0.613)와의 주중 원정 3연전에 나선다. 주말에는 9위 삼성 라이온즈(38승 2무 54패·승률 0.413)를 홈으로 불러 3경기를 치른다. 지난주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와 차례로 만나 모두 2승 1패 위닝시리즈를 거둔 SSG는 최근 10경기 8승 2패를 거두며 키움과의 격차를 7경기로 더 벌려놓았다. 같은 기간 동안 키움은 3연패를 포함해 10경기 동안 3승 1무 6패로 부진했다. SSG는 시즌을 치를수록 더욱 강해지고 있다. 특히 무더위가 겹친 7월 승률은 0.842(16승 3패)에 이를 정도로 타 팀들이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이다. SSG가 현재 승률을 유지한다면 KBO리그 한 시즌 최다승 기록도 작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조심스럽게 리그 사상 최초로 세 자릿수 승수 도전도 가능하다는 관측도 있다. 두산 베어스는 2016년
경기·인천 지역을 대표하는 SSG랜더스와 kt 위즈 두 구단이 전반기 동안 만족스러운 경기력을 보여 후반기를 기대케 하고 있다. 프로야구가 지난주 올스타전을 기점으로 전반기 총 423경기를 마무리한 가운데 SSG(57승 3무 26패·승률 0.687)는 개막 이후 최장기간 동안 1위를 유지하며 리그를 독식했다. 지난 4월 2일 열린 개막전(창원 NC 다이노스전)부터 4월 13일 잠실 LG 트윈스전까지 개막 이후 팀 최다 연승 타이기록인 10연승을 올렸다. 이뿐 아니라 SSG는 전반기 내내 선두 자리를 지키며 개막 후 KBO리그 역대 최장 기간 및 최다 경기(103일·86경기) 1위를 유지한 팀으로 기록됐다. 투·타에서 모두 나무랄 데 없는 경기력을 자랑한 SSG는 특히 선발 마운드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김광현과 윌머 폰트는 든든한 에이스로 자리 잡으며 팀을 이끌었다. 올 시즌을 앞두고 미국 메이저리그(MLB)에서 국내무대로 복귀한 김광현은 전반기 동안 9승1패, 평균자책점 1위(1.65)를 기록하며 만개한 기량을 과시했다. 15차례 선발 등판해 11차례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를 기록할 정도로 위력적인 투구내용을 보였다. 폰트는 지난
신동민-박우빈 조(수원 수성고)가 제48회 장보고기 전국조정대회 남자고등부 무타페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신동민-박우빈 조는 19일 부산 서낙동강 조정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둘째 날 남고부 결승에서 8분20초77로 장지웅·조수혁 조(동아공고·9분01초72)를 여유 있게 따돌리고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어 열린 여고부 무타페어에서는 전주영-안민아 조(하남경영고)가 8분59초36으로 골인하며, 9분21초66을 기록한 왕시아롱-이유정 조(수원 영복여고)를 제치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하남경영고는 지난 2017년 7월 대통령기대회에서 같은 종목 1위에 오른 뒤 5년 만에 전국대회 우승을 일궈냈다. 또한 남일반 경량급 더블스컬에서는 7분11초87를 기록한 권승민-이범준 조(인천항만공사)가 안영진-서재호 조(전남체육회·7분24초50)를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여대·일반부 무타페어 결승에서는 박예리-이희주 조(수원시청)가 8분26초38로 김하영-최미서 조(예산군청·8분12초55)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여중부 더블스컬 결승에서는 조예빈-강서영 조와 남지아-김예은 조(이상 수원 영복여중)가 각각 4분32초49, 4분43초02로 골인하며 차례로 2위와
프로야구 선두 SSG 랜더스의 ‘좌완 에이스’ 김광현이 올스타전 베스트12 팬 투표 1차 중간집계에서 드림 올스타 선발투수 부문 1위에 올랐다. KBO는 13일 2022 신한은행 SOL KBO 올스타전 베스트12 팬 투표 1차 중간집계 결과를 공개했다. 드림 올스타 선발 투수 부문 후보인 김광현은 303,304표를 받아 원태인(삼성 라이온스·138,302표)과 고영표(kt 위즈·61,312표), 박세웅(롯데 자이언츠·52,246표), 로버트 스탁(두산 베어스·46,537표) 등 경쟁자들을 여유있게 따돌렸다. 외야수 부문에서는 한유섬(SSG)이 225,717표를 받아 호세 피렐라(325,587표)와 구자욱(269,900표·이상 삼성)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이번 1차 집계에서 올스타 후보 중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선수는 드림 올스타 포수 부문에서 334,057표를 받은 김태군(삼성)이었다, 김태군은 NC 다이노스 소속이던 2014년과 2015년에 이어 개인 통산 3번째 베스트12 선정을 노린다. 또 나눔 올스타 선발투수 부문 양현종(KIA 타이거즈)이 328,486표로 최다 득표 2위에 올랐고 3위는 김광현이 자리했다. 김광현이 양현종과 동시에 올스타전
신진서 9단이 9월 랭킹에서도 1위를 기록하며 21개월 연속 왕좌를 지켰다. 6일 한국기원이 발표한 9월 랭킹에 따르면 신진서 9단은 8월 한 달간 5승 1패를 거두며, 랭킹 누적점수를 전달보다 19점 많은 1만247점으로 끌어올렸다. 1만10점으로 2위에 오른 박정환보다 237점 높은 점수다. 신진서 9단은 지난달 7일 막을 내린 명인전에서 변상일 9단을 상대로 종합전적 2-1로 승리해 국내 5관왕에 올랐다. 국내 대회를 휩쓸고 있는 그는 8일부터 시작되는 제4기 용성전 결승에서 박정환 9단과 맞붙는다. 3년 연속 용성전 결승에서 격돌하는 두 사람을 향한 기대가 모이고 있다. 디펜딩 챔피언인 신진서 9단은 지난 대회 결승에서 박정환 9단에게 2-0으로 승리하며 첫 용성전 챔피언에 등극했다. 박정환 9단은 2019년 결승에서 신진서 9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신진서 9단은 이어 13∼16일 열리는 제13회 춘란배 결승전을 앞두고 있다. 춘란배 결승 상대는 중국의 탕웨이싱 9단으로 신진서 9단은 2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에 도전한다. 랭킹 2∼4위는 변동 없이 박정환과 변상일, 신민준 9단이 자리를 지켰고, 이동훈 9단이 한 계단 상승한 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