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규정 <인터넷 독자>
이륜차는 운전자와 동승자의 신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고발생시 참혹한 사망이나 중상해가 뒤따르지만 이를 의식하고 이륜차를 타는 사람은 드물다.
특히 상당수 운전자들은 이륜차의 필수 보호장구인 안전모를 착용해야 함에도 거추장스럽다는 이유로 차량수납함에 안전모를 넣어둔 채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륜차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모의 효과는 어느 정도 될까?
경찰청 조사결과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채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와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사망률이 45%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전모를 모두 착용하였을 때 보다 한해에 307명이나 더 사망하는 결과이다.
2006년도의 이륜차 교통사고 1만3천636건을 분석한 결과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와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사고발생 건수는 비슷하였지만 사망자 845명 중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의 사망자수는 331명인데 비하여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의 사망자수는 514명으로 훨씬 많았다.
안전모 미착용 사고 건수는 안전모 착용 사고건수에 비해 약간 많은 것을 고려하면(6천580건:7천56건) 사망률이 45%나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시에 모두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예상 사망자 993명과 모두 착용하였을 때 예상되는 사망자 686명과의 차이인 307명이 안전모를 쓰지 않아서 더 사망하는 셈이다.
한편 이륜차 교통사고로 사망한 845명 중에서 가장 많이 손상을 입은 부위는 머리로 70%에 달하는 591명으로 이륜차 사고 발생시 머리를 보호해 주는 안전모의 유용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안전모 효과 수치는 단순히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착용하지 않았는지 만을 분석한 것이며 제대로 착용하였는지(턱끈을 사용하고 규격에 맞는 재질의 안전모 착용여부)는 일일이 구별할 수 없다.
만약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했다면 더욱 효과가 컷을 것이므로 이륜차를 타는 모든 사람이 규격에 맞는 안전모를 제대로 써줄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