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휘발유 성수기를 앞두고 강세 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고속도로 관련업무 종사자로서 자동차 연료비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과속, 급출발, 급제동 등 나쁜 운전습관 대문에 운전자 한명이 수 천 만원을 낭비 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승용차는 시속 60~80km에서 연비가 가장 좋은데 이 경제속도보다 10% 만큼 속도를 높이면 연료소비량도 10% 정도 비례해 늘어난다.
연료 관련 부품 관리를 소홀히 해도 휘발유 소모량이 늘어난다.
한 달에 1~2회 청소를 해야 하는 공기청정기가 깨끗하지 않으면 4% 이상 연료가 더 들고 타이어 공기압이 10% 부족하면 연료가 5% 더 소모된다.
엔진 점화플러그가 오염되면 연료가 불완전 연소돼 연료 소모량이 5% 가량 늘어난다.
조급한 운전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연간 11만 3천880원~21만 9천원을 더 내고 차를 몰아야 한다는 것. 공회전도 ‘기름 먹는’ 주범의 하나. 여름철 에어컨이나 겨울철 히터 가동 등 이유로 하루 10분만 시동을 켠 채 차를 세워두면 평균 200cc의 휘발유가 필요하다.
1년으로 환산하면 서울과 부산을 왕복하는데 드는 휘발유와 맞먹는다. 트렁크에 불필요한 짐 10kg 정도 넣고 운전하면 하루 평균 50km 주행 때 기름이 80cc 더 들고 1년이면 기름 값이 4만3천800원 더 든다.
타이어의 마모가 심하거나, 공기압이 규정보다 약하면 지면과의 접지력이 약해져 차를 움직이는 데 드는 기름이 많아진다.
광폭 타이어도 연료 소모를 증가 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나쁜 운전습관 때문에 자신도 모르는 새 값비싼 휘발유를 많은 양이 낭비하고 있고 자동차에 무리가 가지 않게 운전하는 습관은 기름 값도 절약하고 교통사고를 막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루 속히 선진 교통문화의 정착이 되고, 또한 국민들도 자발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