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기고] 리더십 스타일, 때에 따라 변해야

 

특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한 사람의 힘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 일을 나눠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으로 구성되는 집단을 이루게 된다. 집단은 특정한 목표를 갖게 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단내의 각 개인이 하는 일은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누군가는 집단 내의 소속 구성원들에게 일을 나눠주고, 각자에게 맡겨진 일이 집단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도록 조정하는 일을 해야 한다. 이러한 일을 하는 사람을 우리는 리더라고 부른다.

일상에서 우리는 다양한 스타일의 리더를 만날 수 있다. 리더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리더십 스타일이 존재할 수 있다. 집단 내의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기반으로 조용히 일을 처리하는 부드러운 스타일의 리더가 있는가 하면 주어진 일에 불같은 열정을 가지고 집단 구성원들을 휘몰아치는 열정적인 스타일의 리더도 있다. 집단 구성원에게 일을 맡기고 본인은 배짱이 같이 행동하는 방임형 스타일도 있고, 모든 일은 다 자기를 통해서 이뤄져야 직성이 풀리는 일 중독자 같은 일 집착형 스타일도 있다.

또한 목표 달성을 위해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일을 열심히 하도록 유도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리더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소속된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적절한 대가나 심리적 자극을 줘서 각자에게 맡겨진 일을 열심히 하도록 유도하는 스타일의 리더를 민주형 리더라고 한다. 반면에 강력한 규칙이나 강요 등을 통해 일을 시키기는 스타일은 권력형 리더에 속한다.

사람에 따라서 적절한 대가나 심리적 자극이 더 잘 통하는 사람도 있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규칙이나 강요가 더 잘 통하기도 한다. 같은 사람이라도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서 일을 열심히 하게 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리더십의 유형은 일을 하는 사람의 특성이나 일의 특성에 따라 그때그때 변할 수 있다. 일리노이대학의 피들러 교수는 이러한 상황을 이론화시켜 상황적합이론이라고 불렀다. 즉 일을 하는 사람의 특성과 일의 특성에 따라 리더십의 유형이 유연하게 적용돼야 한다는 이론이다.

일상적으로 볼 때, 리더의 리더십 유형과 리더를 따르는 사람들의 특성, 그리고 일의 특성이 잘 맞는 경우에 목표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다. 적절한 대가나 심리적 자극으로 일을 열심히 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규칙이나 강요만으로 일을 시키려는 리더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극단적으로는 사람들이 리더를 배척하고 외면할 수도 있다. 반대로 게으르고 일에 대해 무책임한 사람들에게 보상이나 심리적인 자극만으로 일을 시킨다면 집단의 목표 달성은 요원해 질 수 있다. 피들러 교수의 이론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집단 구성원들을 이끌어 나가야 하는 것이다. 리더의 어려움은 리더 자신의 개인적 특성보다 집단의 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십 스타일을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도 인간이기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자신만의 스타일이 존재한다. 리더의 개인적 특성보다 집단의 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의 스타일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어려운 일을 하기에 집단 구성원은 리더를 인정하고 그에 맞는 예우를 갖춰 대한다. 존경받는 리더는 집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리더이다.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한 또 한 가지의 조건이 있다. 집단에서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고 따르는 것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이다. 한 사람의 리더가 여러 사람들의 특성이나 의견을 무시한다면 좋은 리더가 될 수 없다. 리더가 집단 구성원들의 특성과 상반되는 리더십 스타일을 고집한다면 집단의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심한 경우에는 리더로서의 자격을 상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리더는 집단 구성원들의 의견과 특성을 존중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리더십 스타일을 맞춰야 한다. 시간과 환경에 따라 사람들의 특성이나 의견은 바뀌는데, 리더는 이러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맞춰 나가야 할 것이다.

한상일<강남대 교수>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