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독자투고] 재외 국보급 문화제 반환 협상해야

황현성

중국이 150년전 아편전쟁때 프랑스에 약탈당한 12지상을 도로 찾는 국민적 모금운동을 벌이고 있다는 최근 보도가 있었는데 이는 결코 중국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니다.

아편전쟁과 거의 같은 시기인 1866년 프랑스 함대가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항의하여 강화도를 침범, 우리군과 전투끝에 패전하여 퇴각하면서 서적, 무기, 금괴등을 대량으로 약탈해 갔다.

이른바 병인양요다. 무기나 금괴는 소모품이지만 서적은 규장각에 있어야 할 국보급 보물이다. 프랑스 뿐 아니라 동양제국을 식민지화 하는 과정에서 일본을 비롯하여 구미열강들은 무차별적으로 약소국들의 보물을 빼돌린것은 세계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중국의 12지상도 개인소장으로 곧 경매시장에 나올것이라지만 우리가 빼앗긴 서적은 프랑스 국가 소유다. 김영삼 정부때 프랑스 미테랑 대통령이 방한하여 이 서적들의 조기반환을 공언했지만 귀국하여 그는 각계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고 말도 못꺼냈으며 궁색하게 내놓은 조건이 일정기간 대여해 주겠다는 것이었던바, 이같은 제의는 우리의 자존심은 안중에도 없는 구시대적 발상으로서 한·불 양국의 우호증진에 흠결만을 가져올것이다.

이후 정부는 한번도 이 문화재의 반환을 요구한 적이 없으며 프랑스는 보란듯이 국립박물관에 이 보물을 보관하고 있다.

프랑스는 우리 문화재를 돌려주면 여타 치약탈국들의 도미노식 반환요구가 겁났고 다 주고 나면 박물관이 텅빈 문화빈국으로의 추락이 두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시대적 변이는 역행할 수 없는 일, 남의 나라 보물로 생색내는 나라는 마땅히 당사국의 반환요구에 응할 결단을 내려야하며 우리나라도 프랑스 외에 여러나라에 흩어져 있는 보물을 반환받는 다자간 협상에 앞서 프랑스와의 의견조율이 있어야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