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총리론’에 대해 친이·친박 양 계파에서 모두 부정적인 견해가 피력되고 있어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친이측의 김용태 의원은 30일 ‘박근혜 총리론’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고, 친박측의 이정현 의원은 “인사교체로 위기를 극복하려는 진단은 잘못된 것”이라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박근혜 총리론’은 한나라당이 위기에 처할 때 마다 거론되는 ‘단골메뉴’ 중 하나다. 이다. 박 전 재표 총리설은 지난 1월 대통령 인수위 시절과 지난 6월 촛불정국 시절, 그리고 이번을 포함해 모두 세 번째로, 한나라당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친이·친박 모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그 해법에 있어서는 양측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친박측의 이 의원은 “탄핵 후폭풍 속에서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을 굳건하게 반석 위에 올려놓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위기가 닥칠 때 기대나 바람을 나타내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당과 대통령의 지지율이 떨어지면서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얘기”라고 말했다.
금융위기와 실물경제 침체 등 쌍끌이악재가 지속되는 경제난국 상황에서 박 전 대표가 당과정부를 위기에서 구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 하지만 이 의원은 “지금 위기는 단지 지도자나 사람의 위기라기보다는 국제환경에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지 않고 조급하게 사람 탓을 하고 박 전 대표의 역할론이나 인사교체로 위기를 극복하려는 진단은 잘못됐다”고 주장, 박 전 대표가 총리직을 맡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췄다.
친이 측에서도 박 전 대표가 ‘총리’가 아닌 ‘당의 원로’로서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측면지원하는데 역할을 한정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친이 측의 김 의원은 “계파를 떠나, 구원을 떠나 이명박 개혁에 올인해야 한다”며 박 전 대표의 ‘역할론’을 강조했지만 ‘총리 기용’ 문제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다. 지금 그 얘기를 하는 순간 그동안 문제돼온 진정성이 다시 문제가 된다. 자리를 약속하면서 도와달라고 해서는 안된다. 현 상황은 자리를 놓고 진정성을 확인받는 국면이 아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박 전 대표의 역할에 대해 “상임위, 법사위, 본회의 등을 거치며 여야가 대치하고 실력대결을 벌일 때 논리대결 등에 있어 적극적으로 나서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덧붙여 “이명박 정부의 명운이 정기국회 개혁입법의 성패에 달려있다”면서 “박 전 대표가 당 지도부와 함께 큰 역할을 해줘야 한다. 그렇게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