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독자투고] 어린이 보호구역 조금만 더 관심을

노명선<인터넷독자>

가끔씩 학교앞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에서의 교통사고가 났다고 하여 사고현장에 가보면 “나는 교통법규를 지키고 갔는데 아이가 느닷없이 도로로 뛰어나와 내 차에 부딪쳤다”며 운전자가 억울함을 하소연하는 경우를 종종 접하곤 한다

그러나 경찰관의 눈으로 자세히 살펴보면 운전자들의 잘못을 여러 부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학교앞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의 경우 등하교시간에는 시속 30km로 제한하고 있음에도 “지정속도인 시속 60km 정도로 진행하였다”고 말하는 등 운전자 스스로가 법규정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운전자가 조금만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을 때가 있다.

학교앞 어린이 교통사고의 경우 대부분의 아이들은 공을 놓쳐서 도로에 뛰어들며 교통사고 위험성 보다는 도로 위의 공을 주으려는 생각이 먼져 앞선다. 친구들과 놀이하다 쫒고 쫒기는 과정에서 사고의 위험성은 잊은 채 아무런 생각없이 갑작히 도로에 뛰어 들어가는 등 흔히 말하는 ‘언제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순수한 존재’가 우리 아이들에 모습이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이러한 어린이들의 습성등을 고려해 만든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제도(School Zone)로 인해 매년 학교앞 어린이 교통사고 감소는 물론 사망사고 예방에도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일부 운전자들은 아직도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거나 관심부족, 안전불감증 등이 맞물려 아직도 지금 이순간 어디에선가 소중한 우리 아이들이 교통사고로부터 희생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린이 보호구역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만이 어린이 교통사고 제로화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이다.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제도에 대한 이해가 있을 때 우리 아이들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고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결국 운전자가 도의적 도덕적 자책감이나 죄책감은 물론 무거운 민·형사상 책임을 벗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COVER STORY